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탈북민 3만 명 시대…'사회통합형' 정책으로 전환

KTV 830 (2016~2018년 제작)

탈북민 3만 명 시대…'사회통합형' 정책으로 전환

등록일 : 2016.11.02

앵커>
이달 중순이면, 탈북민 수가 3만 명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됩니다.
탈북민 수가 늘어나면서, 이들에 대한 정착 대책도, 변화가 필요해 보이는데요.
정유림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기사내용]
서울의 한 수제떡 전문점.
송편을 빚어 떡을 쪄내는 손길이 바쁩니다.
밀려드는 주문에 힘은 들지만 얼굴에 웃음이 떠나질 않습니다.
이곳의 사장님은 탈북민인 김필옥 씨.
2009년 입국한 김씨가 떡집 문을 연 지는 1년 째, 지금은 단골 손님이 꽤 되지만 자리를 잡기까지 안해본 일이 없습니다.
인터뷰> 김필옥/ 'ㅊ' 떡공방 대표(2009년 탈북)
회사에 취직한다는 것은 아주 막막한 일이고...(일을 구하기까지) 자기 조건에 맞지 않는, 적성에 맞지 않는 일이 있잖아요. 그게 제일 어려웠던 것 같아요.
1990년대 북한 고난의 행군 시절 중국으로 건너가 2014년 2월에 입국한 정혜영 씨.
정 씨는 옷수선가게의 점장님으로, 5개의 점포를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곳의 특징은 탈북민들을 일정 부분 채용한다는 것.
한국에 정착하기까지의 어려움을 누구보다 잘 알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정혜영/ 'ㅇ' 옷수선점장(1999년 탈북)
지금 여기 한곳에서 1~2년 씩 일을 하니까 그 사람들도 뿌듯하다고 이야기하니까..고맙고.
이번 달(11월) 중순이면 국내로 들어온 탈북자가 3만 명을 넘을 것으로 보이지만, 이들이 한국 사회에 자리잡기까지는 넘어야 할 산이 많습니다.
통일부와 남북하나재단에 따르면 탈북민 임금근로자의 월 평균 임금은 지난해 기준으로 155만 원.
일반 국민보다 75만 원 정도 적은 금액입니다.
하지만 긍정적인 신호는 감지됩니다.
남한 생활 만족도에 있어 만족한다는 비율이 65%에 달해 한국에서의 삶의 변화에 긍정적인 기대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탈북민 3만 명 시대를 앞두고 정부의 탈북민 정책 개편 논의가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정착을 단순히 '지원'하는 수준을 넘어 탈북민이 능동적으로 사회에 기여할 계기를 마련하겠다는 겁니다.
녹취> 정준희/ 통일부 대변인(지난달 12일)
"기존의 탈북민 정책방향을 사회통합형으로 바꾸려고 하고 있습니다.기존 제도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그 다음에 지원체계를 효율화시키는 쪽으로…"
탈북민의 성공적인 안착이야말로 통일 준비의 첫걸음이라 할 수 있는데요.
탈북민 3만 명 시대, 이들의 정착에 어려움이 없도록 관계당국과 국민의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해 보입니다.
KTV 정유림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