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2.13합의 이행을 위한 뚜렷한 움직임을 보이지 않자 한국과 미국은 북한의 상황을 조금 더 지켜본 뒤 대응책 마련에 나서기로 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우리 정부는 18일 남북경제협력추진위원회를 예정대로 열어 북한의 행동을 촉구한다는 방침입니다.
오세중 기자>
방코델타아시아에 묶인 북한 자금 문제는 언제 해결될 것인가?
북한은 미국의 전면해제 조치 후 실제로 돈의 입출금이 가능한지를 확인해 핵사찰단 수용 등의 2.13합의 초기이행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북한은 아직 어떠한 움직임도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이에대해 한미 외교부 장관은 전화통화를 갖고 북한이 여전히 2.13합의 이행 의지를 밝히고 있는 만큼 조금 더 상황을 지켜보기로 의견을 모았습니다.
이런 가운데 우리 정부는 18일 제13차 남북경제협력추진위원회를 예정대로 개최한다는 방침입니다.
정부는 이 자리에서 진통중인 6자회담의 재개를 위해 북한이 2.13합의의 신속한 이행을 촉구할 계획입니다.
정부는 또 제20차 장관급회담에서 합의한 상반기중 열차시험운행과 지하자원 개발 협력사업, 대북 식량차관 문제도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경협의에서는 특히, 북한이 2.13 초기 이행조치의 실천 없이 쌀 차관 40만톤 제공을 요구할 것으로 보여 정부가 어떻게 대응할 지도 주목됩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