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 제재 결의안이 채택된 뒤 일본과 중국 등 관련국들이 본격적인 행동에 나섰습니다.
수출을 중단하거나 화물을 검색하는 등 북한에 대한 구체적인 압박이 시작됐습니다.
기자>
북한의 주변국 가운데 가장 강경한 대북제재에 나선 나라는 일본입니다.
일본은 미국의 북한 선박과 항공기 검색에 협조하는 등의 대북제재의 구체적인 시행 방안을 공식 발표하고 미국과 구체적인 방안을 협의하기로 했습니다.
이미 유엔 안보리의 제재안 채택 이전부터 독자적인 제재안을 내놓았던 일본은 결의안 채택 이후 수출 금지 품목을 확대했습니다.
일본 정부는 17일 군사적 목적으로 전환될 소지가 있다며 최첨단 전자제품을 대북 수출 금지 품목에 포함시켰습니다.
수출 중단뿐만 아니라 금융제재도 시작됐습니다.
일본 재무성은 앞으로 석달 간 일본 금융기관 230개를 대상으로 대북 관련 송금 내역을 조사하기로 했습니다.
중국도 화물검사와 금융제재를 시작했습니다.
중국은 북한과 인접한 단둥시에서 화물 트럭을 감시하고, 일부 은행이 대북송금을 중단하는 등 구체적인 제재에 나섰습니다.
하지만 화물을 압류하거나 저지하지는 않았습니다.
이에 대해 왕광야 유엔 주재 중국대사는 각 나라가 각기 다른 방식으로 검색을 할 것이라며 화물검색에는 동의하지만 화물을 중간에서 압류하거나 저지하는 것과는 다르다고 밝혔습니다.
러시아 역시 북한을 압박하고 나섰습니다.
러시아 정부는 16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 제재 결의안 채택과 관련해 북한은 이를 수용하라고 촉구했습니다.
러시아 정부는 이날 발표한 성명을 통해 제재 결의안에 대해 북한 측이 적절히 대응하기를 희망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러시아 정부는 북한 지도부가 한반도의 핵문제 해결을 위한 현실적인 조치를 실행에 옮길 것을 바란다고 밝히며 북한의 유연한 대응을 거듭 촉구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