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별 뉴스
-
상용근로자 2명 중 1명 퇴직연금 가입
상용근로자 2명 가운데 1명은 퇴직연금에 가입했고, 지난해 퇴직연금 적립 규모는 67조원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고용노동부와 금융감독원 집계를 보면 지난해 말 기준 퇴직연금 가입자 수는 438만명으로 전체 상용 근로자의 46%였고, 누적 적립금은 67조3천억원으로 재작년 말보다 17조4천억원 증가했습니다.
퇴직연금을 도입한 사업장은 전체 152만곳...
-
저소득 근로자 사회보험료 절반 지원
<!--StartFragment-->
4월부터 소규모 사업장에서 일하는 월소득 130만원 미만 근로자의 국민연금 고용보험료의 절반을 정부가 지원합니다.
고용노동부는 이 같은 내용의 '소규모사업장 저소득근로자에 대한 보험료 지원 등에 관한 고시' 개정안을 4월부터 시행한다고 밝혔습니다.
정부는 지난해까지 월평균 보수 105만~125만원 미만 근로자에게...
-
작년 남성 육아휴직 1천790명···27% 증가
작년 한 해 자녀를 돌보기 위해 휴직한 남성 근로자가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고용노동부 집계를 보면 지난해 육아휴직을 한 남성 근로자는 모두 1천790 명으로, 이는 재작년에 비해 27% 증가한 수치입니다.
하지만 전체 육아휴직자 중 남성이 차지하는 비중은 채 3%가 안돼, 아직 육아 휴직자 대부분이 여성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
작년 남성 육아휴직 1천790명···27% 증가
작년 한 해 자녀를 돌보기 위해 휴직한 남성 근로자가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고용노동부 집계를 보면 지난해 육아휴직을 한 남성 근로자는 모두 1천790 명으로, 이는 재작년에 비해 27% 증가한 수치입니다.
하지만 전체 육아휴직자 중 남성이 차지하는 비중은 채 3%가 안돼, 아직 육아 휴직자 대부분이 여성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
택시업계, 비상대응체제 돌입···파업 일정 곧 결정
정부가 택시를 대중교통수단으로 인정하는 '택시법' 개정안을 거부하기로 함에 따라 택시업계는 비상대응체제에 돌입했습니다.
총파업 여부와 일정은 오늘 오후 전국택시노동조합연맹 등 4개단체 대표자 회의에서 결정될 예정입니다.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소규모사업장 근로자 '건강센터' 10곳으로 확대
소규모 사업장 근로자의 건강을 전문적으로 관리해주는 서비스가 확대됩니다.
고용노동부와 안전보건공단은 2011년부터 운영 중에 있는 '근로자건강센터'를 올해 5곳을 추가로 선정해 운영한다고 밝혔습니다.
'근로자건강센터'는 50인 미만 영세사업장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별도의 비용 부담없이 직업환경의학 전문의 등 산업보건전문가들이 직업건강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
-
쌍용차 노사, 무급휴직자 전원복직 합의
쌍용자동차가 무급휴직자 전원을 복직시키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쌍용차 노사는 협의를 통해, 무급휴직자 455명 전원을 3월 1일 부로 복직시키는 인사발령을 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습니다.
쌍용차는 아직 흑자전환을 이루진 못했지만 2009년 이후 매년 판매 성장세를 이뤄내고 있다는 점을 감안해 이 같은 결정을 내렸다고 설명했습니다.
< ⓒ 한...
-
쌍용차 노사, 무급휴직자 전원복직 합의
쌍용자동차가 무급휴직자 전원을 복직시키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쌍용차 노사는 협의를 통해, 무급휴직자 455명 전원을 3월 1일 부로 복직시키는 인사발령을 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습니다.
쌍용차는 아직 흑자전환을 이루진 못했지만 2009년 이후 매년 판매 성장세를 이뤄내고 있다는 점을 감안해 이 같은 결정을 내렸다고 설명했습니다.
< ⓒ 한...
-
비정규직, 정규직 전환은 10%···근로조건은 개선
지난 1년 6개월간 기간제근로자의 이동을 살펴봤더니 10명 중 한명만 정규직으로 전환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러나 사회보험 등 전반적인 근로조건은 꾸준히 개선되고 있었습니다.
정명화 기자입니다.
우리나라 비정규직 근로자는 현재 공식집계만 600만명.
2007년엔 비정규직을 보호하기 위해 기간제법이 제정됐지만 실효성 논란이 있어왔습니다.
정부는 이...
-
기간제근로자 근로조건 개선…절반은 이직·실직
기간제근로자의 전반적인 근로조건이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고용노동부가 지난 2010년 4월부터 2011년 10월까지 기간제근로자 2만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를 보면 기간제법 적용자의 임금상승률은 7.6%로 상용근로자 평균 임금상승률 1.4%보다 높았습니다.
사회보험 가입률도 전반적으로 상승해 고용보험은 50.8%에서 55.5%로, 건강보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