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별 뉴스
-
"자정부터 운행 중단" 버스 파업 초읽기
국회가 택시를 대중교통에 포함시키는 법안을 법사위에 상정하기로 함에 따라, 전국 버스의 동시 전면 파업이 초읽기에 들어갔습니다.
버스 노사는 어제 비상대책회의를 열고, 택시를 대중교통에 포함시킨 관련법 개정안이 오늘 국회 법사위에 상정되면 자정부터 전면 파업에 돌입한다고 밝혔습니다.
버스 노사가 파업을 강행한다면 고속버스를 제외한 시내버스와 시외버스,...
-
버스, 내일 첫차부터 '운행중단'
버스업계가 내일부터 무기한 운행중단에 들어갑니다.
교통대란이 우려되고 있는데요, 유진향 기자가 보도합니다.
택시를 대중교통수단으로 인정하는 법안이 국회 법사위를 통과하자 버스업계가 곧바로 파업강행을 선언했습니다.
버스업계는 오늘 밤차까지는 정상적으로 운행한 뒤, 내일 첫차부터 버스 운행을 하지 않기로 했습니다.
이에 따라 내일부터는 전국의 시내버스와...
-
교과서 '직업·학력 차별' 문구 모두 삭제
학생들이 배우는 교과서에서 학력 만능주의를 조장하거나 특정 직업군에 대한 편견을 조장하는 내용이 모두 삭제됩니다.
학생들의 왜곡된 직업관 형성을 차단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이연아 기자가 보도합니다.
고등학생들이 배우는 사회문화 교과서 내용입니다.
"한 달 급여가 최저 생계비라니... 역시 난 너무 가난해"
공장 노동자를 임금이 낮은 직업으로 묘사하...
-
버스업계, 내일 전면 운행중단 논의 예정
전국버스운송 사업조합연합회는 내일 긴급비상총회를 열고 버스 전면 운행중단과 노선버스사업 포기 등을 결의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전국버스운송사업 조합연합회는 내일 서울 방배동 전국버스회관에서 전국 17개 시·도 조합 이사장이 참석하는 긴급 비상총회를 엽니다.
버스업계의 이같은 움직임은 최근 국회 국토해양위원회가 택시를 대중교통 수단에 포함하...
-
"대졸초임 월 255만원, 고졸사무직과 69만원차"
올해 대졸 신입사원의 평균 월급은 255만4천원으로 고졸 사무직 초임보다 69만원 많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한국경영자총협회가 전국 100인 이상 542개 기업을 대상으로 벌인 조사결과를 보면 대졸 초임의 경우 직원수 천명 이상인 대기업이 평균 287만1천원으로 가장 높았고 중소기업은 223만5천원으로 나타났습니다.
고졸 사무직은 월평균 187만5천원을...
-
교과서 '직업·학력 차별' 문구 모두 삭제
학생들이 배우는 교과서에서 학력 만능주의를 조장하거나 특정 직업군에 대한 편견을 조장하는 내용이 모두 삭제됩니다.
학생들의 왜곡된 직업관 형성을 차단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이연아 기자가 보도합니다.
고등학생들이 배우는 사회문화 교과서 내용입니다.
"한 달 급여가 최저 생계비라니... 역시 난 너무 가난해"
공장 노동자를 임금이 낮은 직업으로 묘사하...
-
버스업계, 내일 전면 운행중단 논의 예정
전국버스운송 사업조합연합회는 내일 긴급비상총회를 열고 버스 전면 운행중단과 노선버스사업 포기 등을 결의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전국버스운송사업 조합연합회는 내일 서울 방배동 전국버스회관에서 전국 17개 시·도 조합 이사장이 참석하는 긴급 비상총회를 엽니다.
버스업계의 이같은 움직임은 최근 국회 국토해양위원회가 택시를 대중교통 수단에 포함하...
-
교과서 '직업·학력 차별' 문구 모두 삭제
학생들이 배우는 교과서에서 학력 만능주의를 조장하거나 특정 직업군에 대한 편견을 조장하는 내용이 모두 삭제됩니다.
학생들의 왜곡된 직업관 형성을 차단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이연아 기자가 보도합니다.
고등학생들이 배우는 사회문화 교과서 내용입니다.
"한 달 급여가 최저 생계비라니... 역시 난 너무 가난해"
공장 노동자를 임금이 낮은 직업으로 묘사하...
-
장애를 넘어···진로·직업 교육 지원 강화
요즘은 대학을 졸업하고도 일자리 구하기가 하늘의 별따긴데요.
장애를 가진 학생들에겐 더더욱 쉽지 않은 일입니다.
정부가 고등학교에 다니는 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직업 교육을 강화해 나가고 있습니다.
그 현장을 노은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고등학교 1학년생 진규의 꿈은 두피 모발 관리사입니다.
비록 지적 장애를 앓고 있지만 가슴을 뛰게 하는 꿈 앞에선...
-
사용자, 직원 '우리사주 취득 강요' 금지
<!--StartFragment-->기업복지 제도의 두 축이라고 할 수 있는 우리사주와 사내복지기금의 운영상 문제점이 개선됩니다.
앞으로는 우리사주의 취득을 강요하는 행위가 금지되고, 중소기업 사내복지기금의 사용한도가 늘어납니다.
김현아 기자입니다.
기업공개나 유상증자를 할 때 직원들에게 우선 배정하는 우리사주.
그 동안 근로자들에게 목돈 마련의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