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별 뉴스
-
해외직구식품 구매 전 위해식품 목록을 확인하세요!
-273개 제품에서 위해성분 확인-
임보라 기자>
해외직구식품 3천 개 검사 결과, 273개 제품에서 국내 반입차단 대상 성분이 확인됐습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위해성분이 확인된 제품의 46%가 성기능 개선 효과를 표방한 것이었다며, 심근경색이나 고혈압을 유발할 수 있는 '타다라필', '실데나필'이 확인됐다고 밝혔습니다.
이밖에도 근육강화 효과...
-
디지털 치료기기 첫 허가···환자 선택권 확대
윤세라 앵커>
디지털 치료기기는 환자의 질병 관리를 돕는 소프트웨어 장치입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국내에서 개발한 디지털 치료기기를 처음으로 허가했는데요.
자세한 소식은 이혜진 기자가 전하겠습니다.
이혜진 기자>
디지털 치료기기 산업이 급성장하고 있습니다.
당뇨환자 자기관리 앱 등 국외에서 장애나 질병을 예방하거나 관리하는 소프트웨어 기기 개...
-
디지털 치료기기 첫 허가···환자 선택권 확대
윤세라 앵커>
디지털 치료기기는 환자의 질병 관리를 돕는 소프트웨어 장치입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국내에서 개발한 디지털 치료기기를 처음으로 허가했는데요.
자세한 소식은 이혜진 기자가 전하겠습니다.
이혜진 기자>
디지털 치료기기 산업이 급성장하고 있습니다.
당뇨환자 자기관리 앱 등 국외에서 장애나 질병을 예방하거나 관리하는 소프트웨어 기기 개...
-
디지털 치료기기 첫 허가···환자 선택권 확대
임보라 앵커>
디지털 치료기기는 환자의 질병 관리를 돕는 소프트웨어 장치입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국내에서 개발한 디지털 치료기기를 처음으로 허가했는데요.
자세한 소식은 이혜진 기자가 전하겠습니다.
이혜진 기자>
디지털 치료기기 산업이 급성장하고 있습니다.
당뇨환자 자기관리 앱 등 국외에서 장애나 질병을 예방하거나 관리하는 소프트웨어 기기 개...
-
디지털 치료기기 첫 허가···환자 선택권 확대
최유선 앵커>
디지털 치료기기는 환자의 질병 관리를 돕는 소프트웨어 장치입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국내에서 개발한 디지털 치료기기를 처음으로 허가했는데요.
자세한 소식은 이혜진 기자가 전하겠습니다.
이혜진 기자>
디지털 치료기기 산업이 급성장하고 있습니다.
당뇨환자 자기관리 앱 등 국외에서 장애나 질병을 예방하거나 관리하는 소프트웨어 기기 개...
-
국내 첫 디지털치료기기 허가 관련 브리핑
국내 첫 디지털치료기기 허가 관련 브리핑
오유경 / 식품의약품안전처장
(장소: 식품의약품안전처 브리핑룸)
-
영유아 시설 노로바이러스 식중독 주의하세요!
-철저한 개인 위생관리 필요-
임보라 기자>
최근 어린이집, 유치원, 음식점 등을 중심으로 식중독 의심 신고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특히 영유아 시설에서 노로바이러스 감염이 계속되고 있다며, 밀집된 공간에서 직간접적인 접촉이 많이 이뤄진 결과라고 분석했는데요.
겨울철 식중독의 대표적인 병원체 '노로바이러스'는 환자의 구토물...
-
영유아 시설 노로바이러스 식중독 주의하세요!
-철저한 개인 위생관리 필요-
임보라 기자>
최근 어린이집, 유치원, 음식점 등을 중심으로 식중독 의심 신고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특히 영유아 시설에서 노로바이러스 감염이 계속되고 있다며, 밀집된 공간에서 직간접적인 접촉이 많이 이뤄진 결과라고 분석했는데요.
겨울철 식중독의 대표적인 병원체 '노로바이러스'는 환자의 구토물·침·손...
-
식약처 등 32개 기관, 민원서비스 종합평가 우수기관 선정
최유선 앵커>
행정안전부와 국민권익위원회는 2022년 민원서비스 종합평가 결과를 발표하고 식품의약품안전처를 포함한 32개 기관을 우수기관으로 선정했습니다.
식약처는 의약품 허가증을 전자허가증으로 전환해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광주광역시는 행정옴부즈만위원회를 도입, 고충 민원 해결을 개선하며 민원서비스를 가장 잘 운영한 기관으로 선정됐습니다.
정부는 민원...
-
식중독 예방 협업 강화···"조기경보 고도화"
윤세라 앵커>
범정부 식중독대책협의회가 정부세종 컨벤션센터에서 열렸습니다.
이번 회의에서는 교육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처 등 관계기관 34곳이 참여해 식중독 예방 관리강화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정부는 식중독 예방을 위해 조기경보시스템을 고도화하고, 현장대응 역량을 키우는 부처 간 합동 모의훈련도 주기적으로 실시할 계획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