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시청자의견

KTV 는 시청자 여러분의 의견을 프로그램에 적극 반영하겠습니다.

  • 프로그램에 대한 문의사항 작성 시 프로그램명과 방송일을 기재해 주시면 좀 더 빠르고 정확한 답변을 드릴 수 있습니다.
  • 특정인을 비방하는 내용, 상업적 게시물 내용 등은 공지 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사교육을 없애기 보다는 개선시키는 것에다 중점을 두는게 어떨런지요.?!~

글자확대 글자축소
작성자 : 김향이(hya**)
등록일 : 2010.03.25 20:47
저도 사교육 시장에서 영어를 가르치고 있지만, 사교육을 없애자는 구호는 옳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영어쪽에서만, 의견을 드리자면, 영어는 어학으로서...학교에서 방과후 수업을 하더라도...사교육 쪽의 효과보다 떨어지는 건 사실이지 않습니까? 물론, 사교육 시장이 너무나 방대해져서, 서민들의 고민거리를 개선시켜주는 건 옳다고 보는 측면도 있습니다. 그렇지만, 우리나라 사교육 시장이 얼마나 방대합니까? 그 사교육 시장에서, 생존해 내려고...바둥대는 서민들도 또한 많습니다. 얼마나 또, 법은 허술하게 해 놓은 측면도 많습니까?
사교육 시장의 강사들의 처우도 문제로 들어야 할 것 같습니다. 전국적으로, 스타강사들은 극히, 사교육 시장에서는 소수에 불과한 실정이라고 생각합니다. 그 나머지 분들은, 기본 임금도 받지 못하고, 학원 오우너들에게 횡포도 많이 당합니다. 학원의 운영주들은, 한 번 원장이 되어보라고 이럴 지도 모르지만, 솔직하게, 학원 운영주들 보다는, 강사들이 이 사회에서는 생존해 낼 확률이 적은게 사실 아닌지요?
사교육 시장의 급여 책정 문화도 한가지 문제가 된다고 생각을 합니다. 얼마나, 많은 대학 졸업생들이 사교육 시장에서, 사회 첫 발을 내딛고 있습니까? 우리나라의 현실은 무시된 채로, 많은 교육에 관한 정부의 노력이 수박 겉핡기 식이 아니기를 바래봅니다.

프로그램내 인기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