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정읍시 편을 보고

글자확대 글자축소
프로그램명 : 길 위의 작가 김주영의 ‘장날’
작성자 : 지정순(지정순**)
조회 : 1198
등록일 : 2012.10.12 06:26
전복 정읍의 말목장, 이제는 샘고을시장이라 불리는 장터를 통해 장터 및 장날의 기능과 의미를 짚어보는 시간이었습니다.
사람이 모이는 곳이었기에 농민혁명의 발상지가 될 수 있었던 말목장 현장을 찾아가, 장날에 모여든 농민들이 역사를 어떻게 움직였는지 시간을 거슬러 여행하고, 이제는 샘고을(井邑)시장으로서 모든 산물의 집합지인 동시에 우도농악의 발상지라는 전통의 맥을 잇는 현장이기도 함을 확인하여 장터의 경제적/문화적/사회적 의미를 짚어볼 수 있었어요.

김주영 작가가 동학농민혁명의 발상지가 된 장터에서 3.1운동도 장터에서 시작되었음을 확인시켜주는 인터뷰를 함으로써 오늘 방송 소재인 지역에 머물지 않고 우리 역사를 보다 넓게 바라볼 수 있게 했으며, 장터 여기저기를 돌아보는 가운데 장고를 판매하는 악기점에서는 정읍이 우도농악의 발상지로서 농악이 장터와 함께 발전했음을 알려주는 등 작가의 폭넓은 식견을 통해 시청자를 격조 있는 여행길로 안내했네요.

그러면서도 고무줄 상인의 마케팅 작전, 조기가 입을 벌리고 있는 이유에 대한 설명 등 장터에서 엿볼 수 있는 유머와 재치를 놓치지 않고 잡아내 재미를 준 점도 돋보였습니다.

초반 프롤로그에서의 자막, 역사적 사실 등에 대해 작은 활자로 빽빽하게 설명하는 자막 등은 어느 정도 절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 같네요.
그리고 ‘동학농민혁명기념관’이 올바른 고유명사인데 ‘동학혁명기념관’과 혼용한 오류가 아쉬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