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우리나라 전체 대학생 220만명 중 정부의 학자금 대출을 이용하는 학생들은 약 30만명.

하지만 지금껏 부모의 보증이 없이는 학자금 대출을 받을 수 없었습니다.

서울 구로구에 사는 김은희씨는 부모의 신용불량 기록 때문에 은행 대출 심사에서 탈락해 2학기 등록을 하지 못했습니다.

이처럼 은행권 심사에서 탈락한 학생들은 제 2금융권이나 대출이 쉬운 사설 대부업체를 찾지만 대부분 높은 이자율과 짧은 상환기간 때문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학부모 연대보증제도는 대출금의 상환율을 높이기 위해 도입됐지만 이 때문에 정작 대출이 필요한 저소득층 학생들은 학자금 대출제도를 이용할 수 없었습니다.

실제로 지난학기 학자금 대출을 신청한 19만 명의 학생들 중 혜택을 받은 학생은 13만 명에 그쳤습니다.

정부는 이 같은 학자금 대출제도의 폐단을 없애기 위해 학부모 연대보증제 대신 정부보증방식을 도입하고 대출금액과 상환기간을 대폭 늘렸습니다.

하지만 수혜를 받는 학생들이 늘어난 대신 이자율은 기존에 비해 2퍼센트 가량 올랐습니다.

또 그동안 선착순으로 대출이 이뤄져 상대적으로 불이익을 본 저소득층을 위해 연소득이 5000만원을 초과하는 가구의 학생은 우선 지원 대상에서 제외키로 했습니다.

또 필요한 경우 등록금 뿐 아니라 월 50만원의 생활비도 대출해 주기로 했습니다.

대학 측은 개선된 학자금 제도에 대해 일단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자율 상승으로 지금까지 이 제도를 이용해 온 학생들의 부담이 다소 높아졌단 지적이 있지만 그동안 사채 시장으로 내 몰렸던 학생들은 바뀐 학자금 대출제도 덕분에 숨통이 트였다는 반응입니다.

국정오늘 (161회) 클립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