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6개 공공기관의 지방 이전이 확정됐습니다.
최대 관심사인 한전은 광주로 결정이 됐고 경합을 벌이던 울산에는 지역 특색에 맞게 석유공사가 이전합니다.
이로써 국토균형발전이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수도권에 위치한 346개 공공기관 중 176 곳을 옮기는 대역사가 시작됐습니다.
정부는 6월24일 임시 국무회의를 열어 공공 기관 시 도별 배치 방안을 확정하고 오는 2012년까지 이전을 마치겠다고 밝혔습니다.
수도권과 대전을 제외한 12개 광역 시 도에 분산될 공공기관은 먼저 강원도 지역은 풍부한 부존자원과 청정환경이라는 지역적 특성을 고려해 대한광업진흥공사와 국민건강보험공단 등 13개 기관이 이전합니다.
충청북도는 정보통신정책연구원, 한국소프트웨어진흥원 등 정보통신 관련 기관과 한국교육개발원 등이 배치됐습니다.
전라북도는 새만금사업과 행복도시 등 대형 국책사업과 인접한 특성을 감안해서 토지공사와 농업과학기술원 등 농업 관련 기관들이 옮겨갑니다.
전라남도는 광주의 전력 산업 클러스터와 영상 문화 산업과 연계해 발전할 수 있도록 정보통신지식정보센터와 한국문화예술진흥원 등이 들어갑니다.
광주에는 각 지자체들이 모두 원했던 한전과 한전기공 등을 이전이 결정됐습니다.
경상북도는 편리한 접근성을 고려해 도로공사와 농산물 품질관리원 등 13개 기관이 옮겨갑니다.
대구에는 영남권 산업클러스터의 중추 도시로의 역할을 잘 할 수 있도록 한국산업기술평가권과 산용보증기금, 가스공사 등이 배치됩니다.
경상남도는 동남권 최대 주택 수요 지역임을 감안해 주택공사가 이전하고 제조업 중심의 산업 구조를 돕기 위한 중소기업 진흥공단 등이 배치됩니다.
부산은 한국해양연구원과 한국자산관리공사 등 12곳이 옮겨가며 해양 물류 중심지에, 금융관련 기관이 이미 이전해 있는 점이 감안됐습니다.
한전을 놓고 경합을 벌였던 울산에는 한국석유공사와 한국산업안전공단 등 에너지와 노동복지 관련 기관들을 집중했습니다.
제주도는 국제자유도시로 키운다는 전략적 차원에서 한국국제교류재단과 재외동포재단 등이 이전하게 됩니다.
176개 공공기관의 시·도별 배치방안에 관한 좀 더 자세한 내용과 공공기관 지방이전에 따른 경제효과 및 지역발전에 대한 전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