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176개 공공기관의 지방 이전이 확정됐습니다.

최대 관심사인 한전은 광주로 결정이 됐고 경합을 벌이던 울산에는 지역 특색에 맞게 석유공사가 이전합니다.

이로써 국토균형발전이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수도권에 위치한 346개 공공기관 중 176 곳을 옮기는 대역사가 시작됐습니다.

정부는 6월24일 임시 국무회의를 열어 공공 기관 시 도별 배치 방안을 확정하고 오는 2012년까지 이전을 마치겠다고 밝혔습니다.

수도권과 대전을 제외한 12개 광역 시 도에 분산될 공공기관은 먼저 강원도 지역은 풍부한 부존자원과 청정환경이라는 지역적 특성을 고려해 대한광업진흥공사와 국민건강보험공단 등 13개 기관이 이전합니다.

충청북도는 정보통신정책연구원, 한국소프트웨어진흥원 등 정보통신 관련 기관과 한국교육개발원 등이 배치됐습니다.

전라북도는 새만금사업과 행복도시 등 대형 국책사업과 인접한 특성을 감안해서 토지공사와 농업과학기술원 등 농업 관련 기관들이 옮겨갑니다.

전라남도는 광주의 전력 산업 클러스터와 영상 문화 산업과 연계해 발전할 수 있도록 정보통신지식정보센터와 한국문화예술진흥원 등이 들어갑니다.

광주에는 각 지자체들이 모두 원했던 한전과 한전기공 등을 이전이 결정됐습니다.

경상북도는 편리한 접근성을 고려해 도로공사와 농산물 품질관리원 등 13개 기관이 옮겨갑니다.

대구에는 영남권 산업클러스터의 중추 도시로의 역할을 잘 할 수 있도록 한국산업기술평가권과 산용보증기금, 가스공사 등이 배치됩니다.

경상남도는 동남권 최대 주택 수요 지역임을 감안해 주택공사가 이전하고 제조업 중심의 산업 구조를 돕기 위한 중소기업 진흥공단 등이 배치됩니다.

부산은 한국해양연구원과 한국자산관리공사 등 12곳이 옮겨가며 해양 물류 중심지에, 금융관련 기관이 이미 이전해 있는 점이 감안됐습니다.

한전을 놓고 경합을 벌였던 울산에는 한국석유공사와 한국산업안전공단 등 에너지와 노동복지 관련 기관들을 집중했습니다.

제주도는 국제자유도시로 키운다는 전략적 차원에서 한국국제교류재단과 재외동포재단 등이 이전하게 됩니다.

176개 공공기관의 시·도별 배치방안에 관한 좀 더 자세한 내용과 공공기관 지방이전에 따른 경제효과 및 지역발전에 대한 전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