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정일 사망···'의연한 한국 경제'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사망 소식이 전해진 직후에 우려됐던 부분 중 하나가 바로 우리 경제에 미치는 파급 효과였습니다.
사망 발표 이후 우리 경제의 동향을, 취재기자와 함께 자세히 짚어보겠습니다.
여정숙 기자, 어서 오십시오.
Q> 여 기자, 김정일 위원장 사망 소식이 전해진 19일엔 우리 증시가 크게 흔들리는 모습을 보이지 않았습니까?
A> 네,...
방송일자 : 2011.12.23
-
러시아, 북핵 합의 희망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사망 소식이 전해진 가운데 러시아 정부가 북핵 합의를 희망한다고 밝혔습니다.
나라 밖 다양한 소식, 홍서희 외신캐스터가 전해드립니다.
<러시아, 북핵 합의 희망>
러시아는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이 사망했어도 북핵 합의와 러시아, 남북한이 참여하는 공동 프로젝트가 지켜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알렉산더 루카셰비치 외무부...
방송일자 : 2011.12.23
-
연일 애도 분위기 홍보 속 '차분한 평양'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사망 소식이 발표된 지 닷새째, 북한 TV방송은 연일 애도 분위기를 전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과거 김일성 사망 때와는 달리 주민들의 차분한 일상들이 눈에 띄고 있습니다.
송보명 기자의 보도입니다.
조선중앙방송은 연일 김정일 위원장의 죽음을 슬퍼하며 헌화하는 주민들의 모습과 오열하는 장면을 내보내고 있습니다.
하지만 북한 주민들이 ...
방송일자 : 2011.12.23
-
한중, 김정일 사후 '평화·안정' 인식 공유
한중 6자회담 수석대표가 어제 베이징에서 긴급 회동했습니다.
한중 양국은 김정일 사후에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이 유지돼야 한다는데 인식을 같이했습니다.
보도에 이해림 기자입니다.
김정일 위원장 사망 후 처음으로 한중 6자회담 수석대표가 베이징에서 만났습니다.
중국에 급파된 임성남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우다웨이 한반도사무특별대표를 만나 김정일 사망 이후...
방송일자 : 2011.12.23
-
막 내린 철권통치 37년 김정일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시신이 공개됐습니다.
금수산기념궁전에 영구보존할 것으로 전해졌는데요, 37년간의 철권통치는 이것으로 막이 내립니다.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지난 철권통치 37년의 역사를 되돌아봤는데요.
화면으로 만나 보시죠?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방송일자 : 2011.12.23
-
김정일 사망 이후 주변국 관계 변화 [집중 인터뷰]
한중 6자회담 수석대표가 중국 베이징에서 긴급 회동을 열고 김정일 위원장 사망 뒤 한반도 정세와 6자회담 재개 등을 논의했지만 자세한 회담 내용은 공개 되지 않습니다.
또,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사후 북한 권력 체제의 변화 여부에 관심이 모아지면서 김정은이 공식 직함을 가진 당 중앙군사위원회가 주목 대상이 되고 있는데요, 김정일 위원장 사후 국내외 정세와 ...
방송일자 : 2011.12.23
-
정책&이슈 (54회)
이 대통령-여야대표, 김정일 사후 대응책 논의 / 백악관 "김정은 후계구도 변화없어" / 美 "영양지원·대화재개 계속 추진" / 김정은, '첫 명령' 하달…사실상 군권 장악 / 새로운 권력 '김정은'은 누구인가 / 북한 추모 분위기 확산…주민들은 일상 유지 / 이 대통령, 여야대표 회담... "초당적 협력방안 협의" / 김정일 사망…각국 반응 / 한미, 대북정보 공유회의 정례화 / 정부, 민간차원 '대북 조전 발송' 허용 / "외국인, 대외악재보다 주식 덜 팔아" / 김정일 시신 영구보존 가능성 크다 / 김정일 집권 이후 남북관계 / 김정일 사망 이후 북한 정세 [집중 인터뷰]
방송일자 : 2011.12.22
-
이 대통령-여야대표, 김정일 사후 대응책 논의
이명박 대통령은 오늘 청와대에서 여야 교섭단체 대표 및 원내대표와 회담을 갖고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 사망과 관련한 초당적 대응방안을 논의합니다.
회담에는 한나라당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황우여 원내대표, 민주통합당 원혜영 공동대표·김진표 원내대표가 참석하고, 청와대에서 하금열 대통령실장, 김효재 정무·천영우 외교안보&...
방송일자 : 2011.12.22
-
백악관 "김정은 후계구도 변화없어"
<!--{13245270830620}-->미국 백악관은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 사망 이후 `김정은 후계 구도'에 변화가 없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제이 카니 백악관 대변인은 정례브리핑에서 `북한의 권력분할 합의 징후'와 관련한 일부 보도와 관련해 "김정일은 김정은을 공식 후계자로 지명했고, 현 시점에서 변화가 있다는 어떤 증거도 없다"고 ...
방송일자 : 2011.12.22
-
美 "영양지원·대화재개 계속 추진"
미국 정부는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 사망으로 중단된 대북 식량지원, 북미 대화와 관련한 협의를 계속 진행하겠다는 방침을 밝혔습니다.
빅토리아 눌런드 국무부 대변인은 정례브리핑에서 지난 19일 뉴욕채널을 통한 북미간 접촉과 관련해 "전화통화가 있었다"면서 "이 접촉에서 우리측은 영양지원을 위해 필요한 정보와 함께 양자대화 및 6자회담 재개를 위한 요구조건 ...
방송일자 : 2011.1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