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정일 사망 이후 북한 정세 [집중 인터뷰]
북한이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사망소식을 발표한 지 사흘이 지났습니다.
후계자로 등장한 29살의 김정은은 어제부터 당·정·군을 대동하고 조문을 받기 시작하면서 입지를 굳혀가고 있는데요.
하지만 김정일이 달리는 열차 안에서 사망했다는 북한의 발표에 대한 의혹이 제기되면서 사망의 시점과 장소에 대한 의문이 풀리지 않고 있는데요.
급변...
방송일자 : 2011.12.22
-
정책&이슈 (53회)
미-북, 김정일 사망 후 첫 '뉴욕채널' 접촉 / 靑, 비상근무체제 유지 속 안정감 / '애기봉 등탑 점등' 철회… "인포콘 4단계로 격상" / '김정일 사망' 정부 담화문 발표 / 김정일 국방위원장 시신 동영상 공개 / 김정일 사망…각국 반응 / "내년 초 北정권 분열 가능성" / IAEA "北 비핵화 희망" / '개성공단에 분향소'…북, 근로자 오늘부터 조문 / "시장 동요 적어…우리 사회 한층 성숙" / 김정은 지도체제 본격화…해결 과제는? / 정부 "탈북자 급증 우려…대책 마련중" / 통일부 브리핑 - 북한 동향 관련 / 정부, 사이버 위기 '주의' 경보 발령 [디지털e세상] / 막 내린 철권통치 37년 김정일 / 김정일 사후...남북교류 어떻게 되나 [집중 인터뷰]
방송일자 : 2011.12.21
-
미-북, 김정일 사망 후 첫 '뉴욕채널' 접촉
김정일 위원장 사망 이후 중단됐던 북미 접촉이 재가동됐습니다.
취재기자 연결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정은석 기자?
네, 외교부입니다.
미국과 북한이 뉴욕채널을 재가동했는데요, 김정일 위원장 사망이후라서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어떤 내용들을 논의했습니까?
네, 김정일 위원장 사망 이후 미국과 북한이 어제 첫 공식 접촉을 가졌습니다.
빅토리...
방송일자 : 2011.12.21
-
靑, 비상근무체제 유지 속 안정감
김정일 국방위원장 사망에 따라 청와대는 오늘도 24시간 비상근무체제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청와대에 나가있는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박영일 기자!
네, 청와대입니다.
여전히 24시간 비상근무체제가 유지되고 있죠?
네, 그렇습니다.
김정일 위원장 사망소식이 전해진 뒤 사흘째인 오늘 청와대는 여전히 24시간 비상 근무체제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명박 ...
방송일자 : 2011.12.21
-
'애기봉 등탑 점등' 철회… "인포콘 4단계로 격상"
정부는 경계태세는 강화하되 전방 부대 3곳에 세울 예정이던 성탄트리 점등을 취소하기로 했습니다.
군은 그러나 정보작전 방호태세인 인포콘을 5단계에서 4단계로 격상해, 사이버 상에서의 안보태세를 강화했습니다.
보도에 강필성 기자입니다.
오는 23일 예정된 애기봉 등 서부전선 최전방 지역 3곳의 성탄트리 등탑 점등식이 취소됐습니다.
군 당국은 점등식 주...
방송일자 : 2011.12.21
-
'김정일 사망' 정부 담화문 발표
앞서 전해드린대로 정부는 어제 외교안보장관회의를 갖고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 사망에 대한 첫 담화문을 발표했습니다.
류우익 통일부 장관의 발표, 직접 들어보시겠습니다.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방송일자 : 2011.12.21
-
김정일 국방위원장 시신 동영상 공개
김정일 국방위원장 사망 관련 밤 사이 들어온 소식을 취재 기자와 함께 알아 보겠습니다.
박성욱 기자! 어서오십시오.
북한이 어젯밤에 김정일 위원장의 시신 동영상을 공개했다구요.
네, 그렇습니다.
북한이 어제 오후 조선중앙방송을 통해 김정일 위원장의 시신 사진을 소개했는데요.
저녁엔 사진에 이어 동영상을 공개했습니다.
화면 보면서 설명 드리겠습니다...
방송일자 : 2011.12.21
-
김정일 사망…각국 반응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사망 소식이 전해진 가운데 세계 각국 정부의 반응도 이어지고 있는데요.
자세한 소식, 홍서희 외신캐스터가 전해드립니다.
<美 클린턴 장관, 북한 주민에 위로 전해>
미 국무부는 김 위원장의 사망 소식에 깊은 염려와 함께 주민들에게 위로를 표한다고 밝혔는데요.
애도라는 표현은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또한 힐러리 클린턴 국무장관...
방송일자 : 2011.12.21
-
"내년 초 北정권 분열 가능성"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사망으로 이르면 내년초 정권 내부에서 심각한 균열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 제기됐습니다.
조지 W. 부시 행정부 시절 백악관 아시아담당 선임보좌관을 지낸 마이클 그린 미국 전략국제문제연구소 선임연구원은 워싱턴포스트 기고문을 통해 이같이 전망했습니다.
그린 연구원은 우선 "향후 수개월간 가장 유력한 시나리오는 불안이 아니다...
방송일자 : 2011.12.21
-
IAEA "北 비핵화 희망"
국제원자력기구, IAEA는 '포스트 김정일' 시대에 북한이 비핵화를 진전시키길 바란다고 밝혔습니다.
아마노 유키야 IAEA사무총장은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사망이 비핵화에 미칠 영향을 언급하기는 너무 이르다고 전제한 뒤 "한반도에 비핵화가 진전되고, IAEA가 그 과정에서 핵심적 역할을 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IAEA 감시단은 2007년...
방송일자 : 2011.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