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계속되는 유해물질 누출···'안전불감증' 심각
지난해 9월 구미 불산 누출 사고와 상주 염산 누출에 이어 또 다시 구미 LG실트론에서 불산이 섞인 물질이 누출됐습니다.
6개월 사이에 세번이나 비슷한 사고가 되풀이 될 정도로 유독물 관리가 허술해 지역 주민들의 불안이 커지고 있습니다.
TBC 이종웅 기자의 보도입니다.
구미 3공단에 있는 유독물질 제조·판매 업체입니다.
이 업체는 연간...
방송일자 : 2013.03.05
-
문화체육관광부, 570개 토요문화학교 운영
문화체육관광부는 한국문화 예술교육진흥원과 함께 올해 전국 문화예술기관에서 570여 개의 토요문화학교 프로그램을 운영한다고 밝혔습니다.
'꿈다락 토요문화학교'라는 이름의 프로그램은 주5일 수업제 전면 실시를 계기로 학생에게 토요일에 학교 밖 문화예술 체험 기회를 주기위해 마련됐습니다.
참여를 원하는 학생은 프로그램 운영 주관 기관에 신청하면 되며 관련홈페...
방송일자 : 2013.03.05
-
물가 넉달째 1%대 상승···식탁물가는 급등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넉달째 1%대를 기록하면서 안정세를 이어갔습니다.
그러나 올 겨울 한파와 폭설 때문에, 신선채소 등 식탁물가는 크게 올랐습니다.
보도에 이해림 기자입니다.
최근 물가는 전반적으로 안정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통계청이 발표한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1.4% 상승했습니다.
지난해 11월 1.6%로 떨어진 이후 넉...
방송일자 : 2013.03.05
-
취업정보통 '잡 마케터 아시나요' [캠퍼스 리포트]
대학생들에게 취업정보를 전해주는 대학생 '잡마케터'가 강원도 한림대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습니다.
김영롱 캠퍼스기자가 취재했습니다.
3평 남짓한 녹음실 안.
네 명의 잡 마케터들이 팟캐스트 방송 ‘내일을 잡아라’를 녹음 중입니다.
'내일을 잡아라'는 학생들이 막연하게 가지고 있던 취업문제에 대해 보다 현실적으로 다가가는 방송입...
방송일자 : 2013.03.05
-
협동조합 활성화, 정부 지원 방향은? [집중 인터뷰]
2013년, 협동조합의 시대로 접어들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작년 12월 1일 협동조합기본법이 시행된 이후부터 협동조합 설립 신청과 문의가 쏟아지고 있는데요.
협동조합 회사들의 성공적 정착을 위한 부서죠?
기획재정부 협동조합 정책관실의 강완구 협동조합 정책과장과 협동조합의 성공 조건에 대해 이야기 나눠 보겠습니다.
< ⓒ 한국정책방...
방송일자 : 2013.03.05
-
정책&이슈 (346회)
오늘 김종훈 미래부 장관 내정자 사퇴, 이유는? / 박근혜 대통령 대국민 담화문 발표 / "北, 동해서 육해공 통합 화력훈련 징후" / 지난달 물가 1.4% 상승…넉달째 1%대 / '양회' 개막…시진핑-리커창 체제 공식화
방송일자 : 2013.03.04
-
오늘 김종훈 미래부 장관 내정자 사퇴, 이유는?
오늘 김종훈 미래부 장관 내정자 사퇴, 이유는?
방송일자 : 2013.03.04
-
박근혜 대통령 대국민 담화문 발표
박근혜 대통령 담화문
존경하는 국민 여러분, 오늘 새 정부가 출범한 지 일주일째 되는 날입니다.
산적한 현안과 국민의 삶을 챙겨야 할 이 시기에 저는 오늘 참으로 안타깝고 송구스러운 마음으로 국민 여러분 앞에 섰습니다.
지금 북한의 핵실험과 연이은 도발로 안보가 위기에 처해 있고, 글로벌 경제위기와 서민경제도 매우 어려운 실정입니다....
방송일자 : 2013.03.04
-
"北, 동해서 육해공 통합 화력훈련 징후"
북한이 동해에서 육해공군 통합 대규모 훈련을 실시하려는 징후가 포착됐습니다.
이달부터 열리는 한미 연합 키 리졸브 연습과 독수리 연습 기간에 맞춰 북한 군이 무력시위를 하기 위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정명화 기자입니다.
한미 군 당국은 지난 1일, 유사시 한국 방어를 위한 연합 훈련인 '키리졸브'와 독수리 연습'에 돌입했습니다.
이번주 미 증원군 병...
방송일자 : 2013.03.04
-
지난달 물가 1.4% 상승…넉달째 1%대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넉 달째 1%대의 안정세를 이어갔습니다.
통계청이 발표한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1.4% 상승해, 지난해 11월 1.6% 상승 이후 넉달 연속 1%대에 머물렀습니다.
다만 배추와 당근, 양파 등 농산물가격 급등으로 신선식품지수는 1년 전보다 7.4% 올랐습니다.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
방송일자 : 2013.0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