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가기념식 모아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재정경제부 정례브리핑 - 한·미 FTA 성공전략은?

정책브리핑 수시방송

재정경제부 정례브리핑 - 한·미 FTA 성공전략은?

등록일 : 2006.04.13

박병원 재정경제부 차관은 13일 멕시코, 캐나다가 미국과 나프타(NAFTA)를 체결한 후 미국시장에서 차지하는 1위 상품 수가 오히려 줄었다는 언론들의 보도와 관련해 “진실의 일부만을 보여주는 적절하지 않은 보도”라고 지적했다.

박 차관은 이날 출입기자들과의 정례브리핑에서 A신문사에서 작성·게재했던 관련 그래프를 그대로 보여주면서 “1994년 NAFTA 체결 이후 캐나다와 멕시코의 1위 상품 수가 꾸준히 늘었다가 2000년 이후 줄어드는 모습이었다”며 “NAFTA 체결 덕분에 상당기간 선전할 수 있었던 것”이라고 반박했다.

그는 “수출강국인 일본의 경우도 1994년 1위 상품 수가 208개에서 2000년에 104개로 줄어들었다며 그 이유는 중국수출이 폭발적으로 늘었난 것을 누구도 막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박 차관은 또 “한·미 FTA를 추진하지 않는다고 해서 우리나라의 관세 감축도 없는 것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그는 “우리에게 한·미 FTA는 ‘되면 좋고 안되면 그만’인 성격의 것이 아니라 반드시 해야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박 차관은 “세계적인 무역자유화 추세에 따라 서비스산업과 농업은 더 이상 개방을 미룰 수 없는 측면이 있다`며 `한·미 FTA는 경쟁력을 강화시키는데 자극제가 될 것`이라고 역설했다.

그는 “우리 경제 개발사를 돌이켜보면 경쟁에 노출돼 잃은 것보다 얻은 게 더 많았다”며 “한·미 FTA는 양국 간 실리가 균형을 이루는 수준에서 타결되겠지만 전 세계를 상대로 얻을 수 있는 것까지 포함하면 득이 될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했다.

이어 “개방을 막겠다는 것 보다는 하루라도 빨리 우려되는 분야의 국제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덧붙였다.

박 차관은 특히 `한·미 FTA가 우리 산업에 미치는 영향은 먼저 FTA 협상결과에 따라 달라질 것“이라며 “협상이 진행되지도 않은 상황에서 무리한 가정을 세우고 피해가 굉장히 클 것처럼 보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지적했다.

한·미 FTA가 시한에 쫓겨 졸속으로 추진되는게 아니냐는 지적과 관련 “양국 간에 얼마나 단기간에 집중 논의해서 타결할 것인지 의지에 따라 기간은 천차만별로 달라질 수 있다`며 `역량을 집중해 진지하게 노력할 경우 지금 우리에게 주어진 시간이 결코 길다고 할 수는 없어도 짧은 시간은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한편 박 차관은 “대외여건이 크게 악화되지 않는 한 하반기 이후 경기가 크게 둔화될 가능성이 낮다“며 ”올해 중 전기비 1% 수준의 성장세를 지속해 연간 5% 수준의 성장이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1~2월은 설 연휴 등 불규칙한 요인이 있어 지표를 기계적으로 해석하기 보다는 추세적인 흐름에서 판단할 필요가 있다”며 “소비의 경우 최근에도 회복세를 이어가고 있고, 수출도 1분기 중 두 자리 수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특히 “OECD 경기선행지수가 상승추세를 지속하고 있어 향후 전망도 양호한 편”이라며 “3월 속보지표에서도 생산·소비측면에서 양호한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고 언급했다.

박 차관은 “일각에서 지난 2004년 상반기 때와 같은 더블딥 현상을 우려하고 있으나 2004년과 올해의 경기지표 움직임은 큰 차이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2004년은 가계부채 조정과정이 진행되면서 소비가 부진한 반면, 올해는 가계부채 조정이 대체로 마무리돼 소비회복세를 뒷받침해주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지난 2003년 하반기 이후 경기회복세가 수출에만 의존했던 데 반해, 이번에는 내수와 수출이 균형을 이루고 있다”고 말했다.

3월 고용동향과 관련 “3월 취업자 증가규모가 전월에 비해 감소했으나 비농림어업 취업자 규모, 계절조정 취업자 추이 등을 감안할 때 전반적인 흐름은 추세수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