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핵안보정상회의 '이색 자원봉사자들'
서울 핵안보정상회의에는 지난 서울 G20때처럼 수많은 자원봉사자들이 보이지 않은 곳에서 땀을 흘리고 있습니다.
이들 가운데 조금은 독특한 이력의 자원봉사자들이 있는데요, 정은석 기자가 이들을 직접 만나봤습니다.
지난 2001년 9월 미국 맨해튼서 가장 높은 세계무역센터 쌍둥이 빌딩에 테러가 발생합니다.
여객기 2대가 빌딩에 충돌하면서 건물 2동은 순식...
방송일자 : 2012.03.24
-
승용차 2부제 참여 의향, 62%에 그쳐
앞서 전해드렸듯이 서울 핵안보정상회의 기간에 실시되는 승용차 자율 2부제에 대해, 참여 의사를 밝힌 시민이 10명 중 6명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정부가 보다 적극적인 홍보에 나서기로 했습니다.
여정숙 기자의 보도입니다.
서울 핵안보정상회의가 열리는 26일과 27일은 승용차 자율 2부제가 실시됩니다.
26일은 번호판의 끝자리가 짝수인 차량, ...
방송일자 : 2012.03.24
-
국제적 공조 강화···"발사시 UN차원 조치"
북한 장거리로켓 광명성 3호 발사를 중단시키기 위해 정부가 국제사회와의 공조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런 노력에 불구하고 북한이 발사를 강행할 경우 유엔 차원의 별도 조치도 취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김경아 기자가 보도합니다.
정부는 북한의 장거리로켓 광명성 3호 발사가 명백한 유엔안보리 결의 1874(일팔칠사)호 위반이라는 점을 거듭 강조했습...
방송일자 : 2012.03.24
-
광명성3호 발사때 항공기·선박 우회 조치
북한의 광명성 3호 발사를 앞두고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정부는 발사 시기에 항공기와 선박이 추진체 낙하예상 해역을 우회하도록 조치했습니다.
이연아 기자입니다.
북한이 광명성 3호를 발사하는 시기에 추진체 낙하 예상지점인 서해안을 운항할 예정인 항공기에, 정부가 우회 비행을 지시했습니다.
국토해양부는 다음달 12일과 14일 제주-북경을 오가는 ...
방송일자 : 2012.03.24
-
"4대강 살리기, 물 부족 선제적 대비"
오늘은 UN이 정한 세계 물의 날입니다.
흔히들 '물 부족'하면 남의 나라 얘기라고 여기기 쉽지만, UN은 우리나라를 물 부족 국가로 분류하고 있는데요.
물의 날 기념식에 참석한 김황식 총리는 물 부족 극복을 위한 4대강 사업의 중요성을 거듭 강조했습니다.
보도에 김현아 기자입니다.
기후변화에 따른 물 부족 현상과 홍수에 대비하고, 수질개선과 수생태...
방송일자 : 2012.03.24
-
4대강 자전거길 '국토종주 인증 받아요'
4대강변 자전거길의 전면 개통을 앞두고, '국토종주 인증제도'가 시범시행에 들어갔습니다.
자전거로 4대강을 따라 국토를 종주하면, 완주를 인증받는 제도입니다.
강석민 기자가 보도합니다.
2008년 문을 닫은 능내역.
4년간의 적막을 깨고, 아주 특별한 행사가 열렸습니다.
4대강 자전거길 종주 점검단 4백여명이, 첫 국토종주 인증제 시범운행을 시작한...
방송일자 : 2012.03.24
-
압류방지통장 기초노령연금 등으로 확대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하는 압류방지 전용통장, 일명 행복지킴이 통장이 오는 22일부터 장애인급여와 기초노령연금 등으로 확대됩니다.
송보명 기자의 보도입니다.
경북 구미에 살고 있는 김 모씨는 2년전, 뇌출혈로 반신장애가 돼 장애 1급 판정을 받고 매달 15만1천원의 장애인연금을 받고 있습니다.
지난해 김씨는 아내 이 모씨의 밀린 병원비를 내기 위해 장애...
방송일자 : 2012.03.24
-
경제영토 세계 3위···소비자 이익 확대
주간 정책 하이라이트 54회
방송일자 : 2012.03.17
-
경제영토 세계 3위···소비자 이익 확대
세계 최대 경제대국인 미국과의 FTA가 지난 15일 공식 발효됐습니다.
한미FTA 발효로 우리나라의 경제영토는 세계 3위로 넓어지고, 소비자들의 선택권도 대폭 확대될 전망입니다.
보도에 김현아 기자입니다.
지난해 7월 유럽연합에 이어 미국과의 FTA가 발효됨에 따라, 우리나라는 거대 경제권 두 곳과 FTA를 발효한 아시아 최초의 나라가 됩니다.
세계...
방송일자 : 2012.03.17
-
"발효 후 ISD 재협의···오해·우려 불식"
한미FTA 발효에 즈음해서 투자자 국가소송제도 ISD를 둘러싼 공방이 다시 거세질 전망인데요.
정부는 발효와 동시에 미국과 재협의를 시작하고, 민간 전문가팀을 구성해 오해를 불식시키기로 했습니다.
계속해서 강석민 기자입니다.
한미FTA 찬반 논란의 중심에 서 있는 투자자국가소송제도 ISD.
외국에 투자한 투자자가 상대국가로부터 협정상의 의무나 투자계...
방송일자 : 2012.0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