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5년까지 수산물 수출 2배 확대
우리 식탁에 오르는 맛깔스러운 수산물들. 웰빙식품으로 환영받으면서 소비는 늘고 있지만 최근 들어 외국산과의 경쟁이 격화되는 가운데 수출은 점차 줄어들고 있는 상황입니다.
정부가 이같은 현실을 개선하기 위해 수산물 수출진흥 종합대책을 마련했습니다.
문현구 기자>
우리 수산물 수출은 90년대까진 원양어업 등을 통해 무역흑자를 내는 데 효자 노릇을 톡톡히 했...
방송일자 : 2007.01.11
-
129 희망봉사대가 떴다!
지금 어디 가시는 건가요
희망의 전화 129 봉사활동 가요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방송일자 : 2007.01.11
-
생방송 국정현장 (256회)
노무현 대통령, 개헌 의견수렴 착수 / 지금이 최적기 / 대통령제 국가 중 87%가 중임,연임제 / 헌법개정 과정 / 국민여론 받쳐 주면 개헌안 통과 가능 / 초등학교 영어교육 10년 `긍정적 성과` / 2007 과학기술부 주요 사업 / 복지부, 식중독 사고 후속대책 마련 / 노동부, 신년 기자간담회 / 北, 동계AG 공동입장 제의 / 동네소식-클릭 한번으로 / 공무원연금 개혁시안 이르면 내일 발표 / WTO `美 덤핑마진 계산법, 협정 위반` / 메달리스트의 밤
방송일자 : 2007.01.10
-
노무현 대통령, 개헌 의견수렴 착수
대통령 4년 연임제 개헌을 전격적으로 제안한 노무현 대통령은 오늘부터 본격적으로 정치권과 국민들의 의견 수렴 작업에 나섭니다.
노무현 대통령은 오늘 공석중인 헌법재판소장을 제외한 임채정 국회의장과 이용훈 대법원장 그리고 고현철 중앙선관위원장과 한명숙 국무총리 등 4부 요인을 청와대로 초청해 점심을 함께 하며 낮 12시부터 방금 전인 1시 30분까지 의견을...
방송일자 : 2007.01.10
-
지금이 최적기
노무현 대통령의 연임제 개헌 제안 배경에는 5년 단임제로는 국정운영의 불안정이 계속될 수 밖에 없다는 위기감이 깔려 있습니다.
특히 대통령과 국회의원의 선거와 임기를 고려할 때 지금이 최적기라는 판단이 크게 작용했습니다. 배해수 기자의 보돕니다.
대통령 단임제의 현행 헌법은 지난 87년 독재와 장기집권을 막자는 취지로 만들어졌습니다. 하지만 이후 네번의...
방송일자 : 2007.01.10
-
대통령제 국가 중 87%가 중임,연임제
전 세계 대통령제 국가 95개국 중 대부분에 해당하는 83개국이 중임제나 연임제를 채택하고 있습니다. 국정의 효율성과 책임성을 높이기 위해선데요. 해외 여러 나라들의 사례에 대해 알아봅니다. 계속해서 박영일 기자의 보돕니다.
국정의 효율성과 책임성 향상.
노무현 대통령이 연임제로의 개헌 의지를 천명한 이윱니다.
“대통령 5년 단임제를 임기 4년에 1회에...
방송일자 : 2007.01.10
-
헌법개정 과정
이번엔 개헌 절차를 살펴보겠습니다.
발의에서부터 의결, 공포 절차까지 매우 엄격히 규정돼 있는 헌법개정 과정을
김현근 기자가 보도합니다.
헌법은 우리나라의 최상위법인 만큼 일반 법률에 비해 개정 요건이 매우 까다롭고 엄격하게 규정돼 있습니다. 우선 헌법의 내용을 바꾸는 개정안은 국회나 대통령이 발의할 수 있습니다.
국회의원 10인 이상의 동의를 얻어 발...
방송일자 : 2007.01.10
-
국민여론 받쳐 주면 개헌안 통과 가능
전해철 청와대 민정수석은, 국민의 여론이 받쳐준다면 대통령 4년 연임제 개헌을 통과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전해철 수석은 오늘 MBC 라디오와 인터뷰를 통해 그동안 문제 제기가 있었고, 어느 정도 합의가 있었다고 생각한다며 20년 만의 기회라는 것 등을 충분하게 고려한다면, 통과가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전해철 수석은 또 야당...
방송일자 : 2007.01.10
-
초등학교 영어교육 10년 `긍정적 성과`
초등학교에서 영어를 공부한다는 것 이제는 낯선 일이 아닌데요,벌써 10년이 됐습니다. 교육인적자원부가 분석을 해 보니 초등학교에서 영어를 배운 학생이 그렇지 않은 학생에 비해 성적이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강명연 기자
초등학교 영어교육으로 학생들의 성적이 크게 올랐다는데, 구체적인 내용 전해주시죠.
전화연결.
교육부는 ...
방송일자 : 2007.01.10
-
2007 과학기술부 주요 사업
올해는 한국 최초의 우주인 계획 등 굵직한 과학기술 현안들이 특히 많은데요.
과학기술부가 오늘 우주개발국을 신설하는 등의 내용을 포함한 올해의 주요 사업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취재기자 연결해 알아보겠습니다. 김현아 기자!
전화연결.
자세한 내용 전해주시죠.
네, 올해는 우주개발 사업의 가속화가 가장 눈에 띄는 정책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김우식 과학기...
방송일자 : 2007.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