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월초 공공 주택공급 확대방안 발표
권오규 경제부총리는 이르면 다음달 초 쯤 공공주택 확대공급 방안을 발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권오규 부총리는 오늘 무역협회 주최 최고경영자 조찬 강연에서 부동산시장의 공공부문 역할 강화에 있어서 우선 서민 주거생활 안정을 확고히 하기 위해 임대주택 공급을 확대하는 방안에 대해 검토 중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임대주택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재원...
방송일자 : 2007.01.25
-
한·미 6자회담 공조
송민순 외교통상부 장관은 어젯밤 라이스 미 국무장관과 10분 가량의 전화 통화를 갖고, 차기 6자회담에서의 긴밀한 공조를 약속했습니다.
또한 다음달 초 개최될 것으로 보이는 차기 6자회담에서 9.19공동성명 이행의 초기단계 조치에 합의할 수 있도록 공조를 계속하자는 데 뜻을 같이 했습니다.
두 장관은 특히, 9.19공동성명이 지향하는 목표를 달성할 수 ...
방송일자 : 2007.01.25
-
골드만삭스 `2050년 한국, 세계 2위 부국`
우리나라가 오는 2050년이면 일본, 독일 등을 누르고 세계 2위의 부국이 될 것이라고 골드만삭스가 예측했습니다.
홍콩 문회보는 오늘 골드만삭스가 펴낸 최신 전세계 경제전망 보고서를 인용해 한국의 현 GDP는 8천140억달러로 세계 11위이지만 2050년엔 1인당 8만 천달러로 미국에 이어 세계 2위를 기록할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5년전 브릭스 개념...
방송일자 : 2007.01.25
-
유치원 교육비 지원 확대
다음달부터 유아교육비 지원 대상이 월평균 소득 인정액 369만원 이하 가구로 확대됩니다.
이에따라 수혜 대상이 지금 보다 절반 이상늘어 납니다.
올해 유아교육비 지원대상이 지난해 20만 6천명에서 33만명으로 12만 4천명 늘어납니다.
유아 교육비 지원액도 지난해보다 40% 가까이 늘어난 4156억원입니다.
교육인적자원부가 발표한 유아교육비...
방송일자 : 2007.01.25
-
개인정보보호 경제적 가치
인터넷이 활성화되면서 개인정보가 타인에게 노출돼 피해를 보는 사례가 번번히 발생합니다.
개인정보를 보호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경제적 가치는 무려 1조 3천억원에 달한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우리나라 인터넷 이용인구는 지난해말 기준으로 3천400만명에 이릅니다.
전체 인구 10명 가운데 7명이 인터넷을 이용하는 셈입니다.
이와 관련해 우리나라 인터넷 ...
방송일자 : 2007.01.25
-
기술로 새 길 연다, 한국폴리텍대학
삼팔육.사오정.오륙도
나이를 불문하고 직장인들이 미래에 대해 갖는 불안감을 표현한 신조어들입니다.
그런데 우리나라 유일의 공공직업훈련기관인 한국폴리텍대학에 진학해, 기술을 통해 인생의 새로운 길을 연 사람들이 있습니다.
서울 금천구의 한 자동차 공업사.
4년제 대학을 졸업한 차윤식씨가 대기업 사원의 길을 접고 새로운 꿈을 펼치고 있는 곳입니다.
...
방송일자 : 2007.01.25
-
전월세 지원센터 서민 도움 톡톡
건설교통부가 세입자들을 돕기 위해 지난 15일 문을 연 전․월세지원센터가 개관 일주일만에 천 300건의 문의가 들어오는 등 큰 호응을 받고 있습니다.
지난 15일 건설교통부가 전월세 세입자들의 각종 편의를 돌바주기 위해 수원 국민임대주택 홍보관에 문을 연 전월세지원센터.
변호사와 파견 은행원 등 15명이 주5일간 상담에 들어가 일주일만에 ...
방송일자 : 2007.01.25
-
실패주장 성급한 판단
언론 다시보기 시간입니다.
조선일보는 오늘 국가 균형발전, 사실상 실패라는 제목의 기사를 실었습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방송일자 : 2007.01.25
-
해외환자 유치 활성화
암이나 장기 이식 분야에서 세계적인 의료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우리나라,그러나 해외 환자 유치에 있어서는 경쟁국들에 비해 많이 뒤져 있는 상황입니다.
정부가 해외 환자 유치를 적극 지원해 국내 의료 산업의 경쟁력을 키우기로 했습니다
3개월 전 기도에 혹이 생겨 고생하다한국에서 종양을 제거한 몽골인 푸르돌츠씨.
수술 전 받은 조직검사 결과와 수술 예후를...
방송일자 : 2007.01.25
-
개헌의 역사
개헌의 역사 오늘은 두번째 시간입니다.
61년 5.15 군사쿠데타에 성공한 군부세력들은 헌법을 집권의 도구로 사용하기 위해 개헌작업에 착수합니다.
정권을 잡은 박정희 대통령은 영구 집권을 위한 6차, 7차 개헌에 착수하고 국민의 장기집권에 대한 분노도 높아만 갑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
방송일자 : 2007.0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