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고충처리위원회 브리핑
방송일자 : 2006.10.17
-
행정자치부 브리핑
방송일자 : 2006.10.17
-
국무회의 후 브리핑
방송일자 : 2006.10.17
-
KTV 국정와이드 (196회)
대북 포용정책 이미 조정중 / 대북 제재위 역할 / 대북 재재 강화 본격 돌입 / UN 대북제재, 北 경제에 큰 영향 / 대북제재 결의안 이후 북한 선택은 / 북한, 결의 이행하지 않으면 더 큰 제재 / 독립유공자 격려 / 외교부, 추한 한국인 불식 협력 약정 체결식 / 한-아세안 세이프가드 도입 / 복지부, 산모도우미 지원기준 완화 / 기상청 홈피, ‘이용자 중심’ 개편 / 국세청, ‘체납자 통합관리 시스템 만든다’ / 동아일보 학생건강검진 보도 관련 교육부 입장 / 동아일보 하수관 정비사업 보도 관련 환경부 입장 / 문화유산 지킴이 / 순간포착 - 민방공 대피훈련 / 부동산 공급 보완방안 폭넓게 강구 / 제 1차 아시아 철도 정상회의 / 개방형 자율학교 시범학교 4곳 선정 / 대박상품 만들려면 국가통계 활용하라 / 한국, 2004년 특허출원 세계 4위 / 다음달부터 새 자동차 신규 번호판 부착 / 법무부, 혼인가능 연령 남녀‘만18세’통일 / 산자부 브리핑
방송일자 : 2006.10.16
-
대북 포용정책 이미 조정중
청와대가 대북포용정책은 핵실험에 따른 상황 변화에 의해서 이미 조정 중에 있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유엔 안보리 결의에서 요구하는 의무사항을 충실히 준수할 것`이라면서 `이 점에서 특히 안보위험과 경제불안이 증폭되어서는 안된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기자>
유엔의 대북 제재 결의안과 관련해 청와대가 포용정책은 이미 조정중에 있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
방송일자 : 2006.10.16
-
대북 제재위 역할
방송일자 : 2006.10.16
-
대북 재재 강화 본격 돌입
방송일자 : 2006.10.16
-
UN 대북제재, 北 경제에 큰 영향
유엔 안보리가 대북 결의안을 만장일치로 통과시킴에 따라 이제 곧 북한에 대한 경제제재가 본격화할 전망입니다.
일각에서는 이같은 경제제재만으로는 폐쇄경제 체제인 북한에 대해 별 영향을 끼치지 못할 것이라는 견해도 있습니다.
대북 경제제재의 예상 효과를 알아봤습니다.
기자>
지난해 기준 북한의 대외무역 규모는 총 30억 100만 달러.
이 중 중국...
방송일자 : 2006.10.16
-
대북제재 결의안 이후 북한 선택은
유엔 안보리가 대북제재를 결의한 가운데 북한은 아직까지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국제사회에서 초미의 관심사가 되고 있는 북한의 행보를 전망해봤습니다.
기자>
유엔의 대북제재 조치가 결의된 가운데 북한의 선택 중 가장 유력한 것은 별 다른 반응을 자제하면서 일단 상황을 예의주시하자는 쪽입니다.
핵이나 미사일 실험과 같은 추가적 무력 시위는...
방송일자 : 2006.10.16
-
북한, 결의 이행하지 않으면 더 큰 제재
방송일자 : 2006.1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