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각 나눔
우리에게는 IMF 환란이라는 고통스런 시기가 있었습니다.
모두 허리띠를 졸라매고 금 모으기에 동참하면서까지 하나가 되어 경제위기를 극복했습니다.
그 어려움 속에서도 빈곤, 질병, 실직 같은 사회적 위험으로부터 민생을 보호하기 위해 선진국 수준의 사회안전망 기본 틀도 마련했습니다.
그러나 IMF 환란의 충격을 다 해소하지 못한 상황에서 경기침체가 이어지다보...
방송일자 : 2006.02.07
-
미디어 정책이슈
청와대가 지난 2일 ‘복지국가가 성장친화적’이라는 요지의 정책보고서를 이메일을 통해 여론주도층들에게 배포했습니다.
이 보고서는 ‘OECD국가의 사회지출과 경제성장’에 대한 내용으로 분배가 성장의 걸림돌이 되지 않을 뿐 아니라 오히려 성장을 촉진한다는 국제석학들의 연구결과를 담고 있습니다.
또 사회적 합의 제도가 경제성장에 중요하다고 말합니다.
복지국가들...
방송일자 : 2006.02.07
-
정책 풀스토리
양극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핵심은 무엇보다 일자립니다.
하지만 기업이 창출할 수 있는 일자리는 한계가 있습니다.
정부는 창업에도 눈을 돌리고 있습니다.
창업에 필요한 각종 지원을 제공해서 성공적인 소상공인을 육성하고 경제활력을 되찾자는 것입니다.
<정책 풀스토리>에서는 정부의 창업보육센터 사업 소개해드립니다.
방송일자 : 2006.02.07
-
미디어 정책여론
방송일자 : 2006.02.07
-
미디어비평
방송일자 : 2006.02.07
-
`현-정부의 경제 정책과 양극화 정책기조에 대한 언론보도` 냉정하게, 더 신중하게 등
미디어이슈 정책&여론 4회
방송일자 : 2006.01.31
-
`양극화 해소`가 `정치적 음모`? 등
미디어이슈 정책&여론 3회
방송일자 : 2006.01.24
-
핫이슈 리포트
일자리도, 소득도, 중간층이 없이 끝과 끝을 달리는 양극화.
그 폐해가 미래의 사회 분열을 예고하자, 노 대통령이 신년 연설에서 양극화 해소를 위한 특단의 조치를 취하겠다고 나섰습니다.
`부자 때리기`냐, `기업 쥐어짜기`냐, 심지어는 `차기 집권을 위한 감성에의 호소`냐.
대통령의 신년 연설 이후 참 많은 말들이 나오고 있는데요,
이번 핫 이슈 리...
방송일자 : 2006.01.24
-
생각나눔
최근 경기지표가 좋아지면서 참여정부는 나름대로 자신감을 갖고 우리사회의 장기적인 비전을 제시할 수 있게 됐습니다.
그러나 그 전제조건은 역시 양극화 해솝니다!
이점에 대해서는 우리사회 구성원 모두 인식을 같이하고 있지만, 그 해법에 대해서는 다른 목소리들도 나오고 있습니다..
<생각나눔>에서는 양극화 해법에 대한 우리 사회의 다양한 의견들을 모아봤습니다...
방송일자 : 2006.01.24
-
미디어 정책이슈
우리나라뿐 아니라 새해 각국 정치지도자들의 신년연설에도 양극화 문제가 담겼다고 합니다.
같은 고민이지만 좀더 일찍 경험과 과제를 치른 나라들..
국가 정책과 국민들의 노력으로 사회 안정과 통합을 이뤄가고 있는 모습입니다.
독일의 경우만 봐도 양극화 해소를 위해서 이념과 정파를 초월한 ‘대연정’ 정책을 추진하고 있는데요.
이제 출발점에 선 우리에게 여러모...
방송일자 : 2006.0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