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주부 재취업 용이한 55개 직업 선정 발표

노동포커스

주부 재취업 용이한 55개 직업 선정 발표

등록일 : 2008.03.13

일을 하는 여성에게 있어서 출산과 육아문제는 큰 고민이 아닐 수 없습니다.

일부는 일이냐 가정이냐 사이에서 고민을 하다가 어쩔 수 없이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기도 하는데요, 노동부와 한국고용정보원은 이른바 경력단절 여성이라고 불리우는 이들의 재취업을 돕기 위해 ‘주부 재취업 도전직업 55가지’ 를 선정했습니다.

이승아 기자>

오늘도 강의 준비에 여념이 없는 이진아씨. 여성 리더십 강사로 활동하고 있는 이씨는 기업체나 공공기관의 직원들에게 양성평등을 주제로 리더십 강의를 하고 있습니다.

이씨는 2년간의 전업주부 생활을 과감하게 접고, 여성 리더십 강사로의 화려한 변신을 시도했습니다.

그 과정에서 남편과 시부모님의 반대로 많은 갈등도 겪었지만 이씨의 재취업 의지만큼은 꺽지 못했습니다.

어느새 불쑥 커버린 딸은 이씨가 회사일과 집안일로 벅차할 때면 언제나 엄마의 든든한 지원군이 된다고 합니다.

이처럼 주부들의 재취업 욕구는 매우 높아지고 있는데 반해, 노동시장 진입은 여전히 높은 장벽으로 남아있습니다.

다른 구직자와 달리 주부들은 무엇보다 취업 가능한 분야를 먼저 찾아내는 게 중요합니다.

그런데 지금까지는 주부 재취업과 관련한 이렇다할 정보나 사례를 찾아보기 힘들다는 게 주부 재취업의 가장 큰 걸림돌이었습니다.

이에 노동부와 한국고용정보원은 주부가 재취업하기에 적합한 직업 55개를 선정해 이들 직업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곁들인 '주부 재취업 도전직업 55' 책자를 발간했습니다.

이번에 발간된 책자에는 55개의 직업에 대한 개요를 비롯해 하는 일, 적성과 능력, 취업에 필요한 훈련정보 등을 제공합니다.

뿐만 아니라 재취업에 성공한 주부 60명의 인터뷰까지 수록해 경력단절 여성들이 재취업을 준비하는데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번에 최종 선정된 55개 직업은 모두 8개 분야로 이 중 교육 분야가 독서논술지도사와 아동복지교사 등 17개로 가장 많았고, 판매. 일반 서비스 분야가 공인중개사와 쇼핑호스트 등 11개로 그 뒤를 이었습니다.

이밖에 문학, 디자인, 예술 분야는 플로리스트와 리폼 디자이너 등 7개가 선정됐고, 보건복지 분야와 상담분야가 각각 3개씩 선정됐습니다.

특히, 별도의 직업훈련 없이 재진입이 가능한 단순노무·판매직과 이전의 경력이 있어야만 재진입이 가능한 전문직, 고도의 경쟁을 통해서만 가능한 공무원·교사·교수 등은 이번 선정에서 제외됐습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