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혁신포럼···"K-컬쳐에서 아세안-컬쳐로"
김유영 앵커>
한-아세안 문화교류 확대 방안을 모색하는 문화혁신포럼도 이어졌습니다.
문 대통령은 아세안 문화의 잠재력에 주목하면서, K-컬쳐에서 '아세안-컬쳐'로 함께 나가자고 제안했습니다.
채효진 기자입니다.
채효진 기자>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부대행사로 열린 문화혁신포럼.
쁘라윳 태국 총리 등 아세안 3개국 정상과 6백여 명이 모여 한-...
방송일자 : 2019.11.25
-
'푸드 스트리트' 인기···주말 방문 1만여 명
김유영 앵커>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가 열리는 부산에서는 아세안 대표 음식들을 즐길 수 있는 '푸드 스트리트'가 인기입니다.
온라인은 물론이고 현장 입장권 판매도 연일 매진이라고 하는데요.
현장에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박지선 기자, 현장 분위기 어떤가요?
박지선 기자>
(장소: 부산 전포동)
네, 제 뒤로 보시면 아세안 음식들을...
방송일자 : 2019.11.25
-
"아세안 국가와의 양자 FTA 적극 확대"
김유영 앵커>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를 통해 아세안 국가들과의 교역은 한층 탄력을 받을 전망입니다.
정부는 아세안 개별 국가들과의 FTA를 적극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박성욱 기자입니다.
박성욱 기자>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를 계기로 아세안 국가들과의 양자 FTA가 적극 추진됩니다.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우리 기업의 진출이 ...
방송일자 : 2019.11.25
-
2019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1부
특별생방송 612회
방송일자 : 2019.11.25
-
한-아세안 CEO 서밋 기조연설
존경하는 아세안 정상 여러분,
경제계 지도자 여러분,
한국 제1의 항구도시,
부산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오늘 아세안과 한국의 최고경영자들을 모시고, ‘모두를 위한 번영’을 주제로 한-아세안 경제협력 비전을 말씀드리게 된 것을 매우 뜻깊게 생각합니다.
동아시아의 바다는 삶과 문명을 연결하는 통로였고, 교역의 길이 되며 해양과 무역의 시...
방송일자 : 2019.11.25
-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본격 개막
임보라 앵커>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가 오늘 공식 개막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은 오늘 아세안 국가 정상들과 연쇄 양자회담을 하고, 다양한 부대행사에도 참석할 예정입니다.
미디어센터가 마련된 부산 벡스코 연결해서 자세한 내용 알아보겠습니다.
유진향 기자.
유진향 기자>
(장소: 부산 벡스코)
네, 부산 벡스코입니다.
임보라 앵커>
한·...
방송일자 : 2019.11.25
-
부산 스마트시티 착공···"새로운 미래도시 설계"
임보라 앵커>
부산 스마트시티 착공식이 어제(24일) 문재인 대통령과 아세안 정상들이 참석한 가운데 개최됐습니다.
문 대통령은 부산 스마트시티를 통해 한국형 스마트시티 모델을 선보이겠다며, 이를 바탕으로 아세안 도시들과의 스마트시티 협력도 강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문기혁 기자입니다.
문기혁 기자>
부산 에코델타 스마트시티는 낙동강 하구 삼각주에...
방송일자 : 2019.11.25
-
하나된 아세안···전야제 '아세안 판타지아'
임보라 앵커>
어제(24일) 경남 창원에선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의 전야제 격인 '아세안 판타지아' 공연이 열렸습니다.
한류스타들과 아세안 유명 가수들이 함께 무대를 꾸몄는데요.
박지선 기자입니다.
박지선 기자>
한국의 대세 락밴드 '새소년'과 태국의 인기가수 품 비푸릿이 한 무대에서 호흡을 맞춥니다.
이어 미얀마 인기가수 윈레이의 공연이 펼...
방송일자 : 2019.11.25
-
아세안, 한국 2위 교역대상···수출 1천억 달러 돌파
임보라 앵커>
우리나라에게 아세안은 중국에 이어 두번째로 큰 교역대상입니다.
지난해 사상 처음으로 수출액이 1천억 달러를 넘어서며 우리의 핵심 경제협력 파트너로 자리매김했는데요.
이번 특별정상회의를 계기로 아세안과의 교역은 더욱 탄력을 받을 전망입니다.
보도에 이리나 기자입니다.
이리나 기자>
지난 1989년 대화 관계 수립 이후 우리의 핵심...
방송일자 : 2019.11.25
-
靑 "아베 발언 실망···신의성실 원칙 위반"
임보라 앵커>
청와대가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인 지소미아 종료 조건부 연기를 둘러싼 일본 측 발표에 깊은 유감을 표했습니다.
특히 일본은 아무것도 양보하지 않았다는 아베 총리의 발언을 강도 높게 비판했습니다.
채효진 기자입니다.
채효진 기자>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지소미아 종료와 수출규제 조치 철회에 대한 일본 측 발표에, 깊은 유감을 표했...
방송일자 : 2019.1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