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일창구로 기업지원
기업이 필요로 하는 정보 제공은 물론 각종 민원까지 한곳에서 해결할 수 있는
단일창구가 문을 열었습니다.
원스톱 기업지원 사이트인 '기업하기 좋은 나라'입니다.
강석민 기자>
기업활동을 하다 정보가 필요하거나 해결해야 할 문제가 생겼을 때, 이곳저곳
발품을 팔지 않아도 될 전망입니다.
전자정부 구현사업의 하나로 지난 2003년 12월부터 시...
방송일자 : 2008.02.29
-
먹을거리 관리강화
초등학교 앞에는 떡볶이 등을 파는 분식집은 물론이고, 문방구에서도 값싼 과자류가
동심을 유혹하는데요, 다음 달부터 학교 주변 200m 안에서는 불량식품을 팔지 못하게
하는 어린이 식품안전보호구역 시범사업이 확대,실시됩니다.
이정연 기자>
새 학기가 시작하는 다음달부턴 불량식품을 판매할 수 없도록 학교 주변 200m
안에 지정된 이른바 ‘그린 ...
방송일자 : 2008.02.29
-
농작물 재해보험 확대
농작물 재해보험이 시작된 지 8년째입니다.
올해부터는 보험 대상품목과 범위가 넓어지고, 또 농가 평균 보험료율도 소폭
낮아져 농가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보입니다.
김현아 기자>
경북 의성의 사과농가는 지난해 우박피해를 입었지만 농작물 재해보험에 덕에
340만원의 보험료를 내고 1억 8천 4백만 원의 보험금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농작물 재해...
방송일자 : 2008.02.29
-
뉴욕 필하모닉, 북한.미국 국가 연주
한주간의 문화이슈를 살펴보고 좋은 공연과 전시, 한주간의 문화계 소식을 알아보는
<문화의 세계> 시간입니다.
강명연 기자>
Q1> 먼저 문화뉴스부터 알아볼까요?
한주 동안 어떤 소식 있었나요?
A1> 이번주 문화계의 가장 큰 소식은 역시 뉴욕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평양
공연이 아니었나 싶습니다.
지난 화요일 평양의 동평양 대극장에서 열린...
방송일자 : 2008.02.29
-
군 명예 높이는데 최선
이명박 대통령이 취임 후 처음으로 학군사관학교 임관식에 참석했습니다.
이 대통령은 군의 노고를 치하하며 군의 명예를 높이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습니다.
강동원 기자>
이명박 대통령이 취임후 첫 외부행사로 학군사관학교 임관식 현장을 찾았습니다.
이대통령은 군의 노고를 치하하며 군의 명예를 높이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대통령은 그러면...
방송일자 : 2008.02.29
-
시장개방 다변화
새 정부의 정책비전을 살펴보는 연속기획, 오늘은 대외 경제정책을 살펴봅니다.
이명박 정부는 거대경제권과의 FTA를 지속적으로 늘려, 시장을 다변화하고 우리
경제의 경쟁력을 더 높일 계획입니다.
유진향 기자>
자유무역협정은 새 정부에서 더욱 속도를 낼 것으로 보입니다.
새 정부가 가장 역점을 두는 부분은 역시 한미FTA의 조속한 국회 통과입...
방송일자 : 2008.02.29
-
깨끗한 수돗물 아리수! 아리수 탐구교실
깨끗한 수돗물 아리수! 아리수 탐구교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방송일자 : 2008.02.29
-
뉴스 투데이 (31회)
현금영수증 소득공제 대상 확대 / 상생의 노사문화 정착 / 경제살려 일자리창출 / 대북정책, 생산적인 '실용' 선택 / 정부직제 확정, 공무원 3천427명 감축 / 기업 체감경기 넉달만에 상승 반전 / 국립공원, 산불예방위해 등산로 통제 / 전자여권, 올 하반기 본격 실시 / 자동차 리콜 전 수리해도 보상 받는다 / 국제 곡물가 급등, 원인과 대책 / 부모사랑 그대로 '아이돌보미' 서비스
방송일자 : 2008.02.28
-
현금영수증 소득공제 대상 확대
앞으로 현금영수증 가맹점이 아닌 곳에서 현금 거래를 해도 연말 정산에서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또, 변호사 등 전문직 사업자의 수입금액명세서에 있는 현금 거래도 소득공제
대상이 됩니다.
김미정 기자>
현재 소비자대상 업종의 사업자는 190만명.
이 가운데 현금영수증 가맹사업자는 130만명이고, 나머지 60만명은 미가맹 사업자입니다.
...
방송일자 : 2008.02.28
-
상생의 노사문화 정착
이명박 대통령이 취임사에서 강조했듯이 상생의 노사문화 정착은 새 정부의 주요
지향점입니다.
우리나라 노사 문화의 현주소와 또 안정된 노사문화를 이루기 위해 앞으로 풀어가야
할 과제들은 무엇인지 짚어봤습니다.
이정연 기자>
지난해 노동부가 선정한 노사문화 우수기업인 이 회사는 불과 몇년 전만 하더라도
노사대립과 파업으로 몸살을 앓았습니다.
...
방송일자 : 2008.0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