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자아이가 여자아이보다 안전사고율이 높고, 1~3세까지 걸음마 시기에 사고가 가장 빈발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발달단계별로 어린이 안전사고 유형을 살펴보고 예방법도 함께 찾아봅니다.
한국소비자원 위해분석팀 최난주 팀장과 함께 합니다.
1.
어린이 안전사고가 얼마나 많을까요?
어린이 안전사고 최근 현황부터 살펴보죠.
2.
국외와 비교해서 우리나라 어린이 안전사고 비중은 어느 정도 수준인가요?
3.
아무래도 활동이 활발한 남자 아이들이 안전사고율이 높을 텐데요.
성별 또는 발달단계별 차이는 어떻게 나타났나요?
4.
1세 미만 영아기 안전사고도 9%나 된다는 사실이 놀랍네요.
어린이 안전사고가 주로 발생하는 사고 장소도 아무래도 집과 놀이터 등 아이들의 생활반경 내에 있겠죠?
어떤가요?
4-1.
연령별로 주택사고와 실외 사고 비중이 다른 이유는 뭘까요?
5.
그밖에도 안전사고 유형은 다양한데요.
아이들은 장난감을 가지고 놀다가도 쉽게 다치거든요.
어린이에게 위해가 되는 품목들은 어떤 것들일까요?
5-1.
위해품목 역시 영아기와 취학 시기 등에 따라 달라지겠죠?
6.
안전사고의 유형은 어떤가요?
이 역시 발달단계별 차이가 있을 텐데요?
7.
발달 단계별로 일어나는 주요 사고 사례들을 몇 가지 소개해주실 수 있을까요?
8.
가장 안전하다고 생각되는 집에서, 또는 보호자가 있을 때도 수시로 발생하는 게 어린이 안전사고입니다.
무엇보다 안전사고 교육이 중요한데요.
어린이 안전사고 교육은 어떻게 이뤄지나요?
9.
어린이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정하셨죠.
발달단계별 예방팁도 소개해주시죠.
부모와 어른들의 끊임없는 관심만이 어린이 안전사고에 대처하는 최선의 예방법입니다.
안전사고 대처법을 꼼꼼히 체크해 둬야 할 것 같습니다.
지금까지 한국소비자원 위해분석팀 최난주 팀장 이었습니다.
오늘 말씀 감사합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