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시청자의견

태양열 에너지의 또다른 환경오염

글자확대 글자축소
작성자 : 청정에너지(청정에**)
등록일 : 2004.02.13 17:48
태양열 에너지의 또다른 환경오염


환경단체는 틈만 나며 태양빛발전이 원자력발전을 대처할 수 있는 꿈의 에
너지라고 주장하나 그 실체를 들여다 보면 아직은 실현가능성이 없는 허구
로 가득찬 주장이다.

그리고 태양빛발전도 알고보면 그다지 친환경적지도 못하다.

예를들어 에너지대안센타가 서울 종로구 부암동에 지은 시민태양발전소를
보자.

이 발전소에서 일반 가정집이 한달에 쓰는 300kwh 정도의 전기를 태양빛으
로 만드는 시설을 짓는데 소요된 2900만원을 회수하기 위해 12년 정도 걸린
다고 한다.

회수방법은 시민태양발전소가 만든 태양전기를 kw당 712원 받고 한국전력
에 팔고 시민태양발전소는 한전에서 파는 가정용 전기를 kw당 70~80원에
사서 쓰는 10배 남기기 장사를 하고서도 말이다.

태양빛발전을 하기위해 태양빛을 모으는 집광판을 설치하는데 넓은 땅이
필요하여 원자력발전소 1기로 생산하는 100만kWe 전기를 만드려면 경기
도 안양시 면적의 2배에 해당하는 3600만평이 필요하다고 한다.(경희대 김
명현교수 '03.6.20 에너지정책토론회)

그리고 이처럼 넓은 면적에 설치된 집광판 밑의 땅은 햇빛을 못봐 죽은 땅
이 되니 또 다른 환경오염 문제를 만들게 된다.

지난 1월5일 KBS 제1라디오의 에너지정책토론회에 출연한 방통대의 이필
렬교수는 태양빛을 모으기 위한 집광판을 도시의 건물이나 각 가정의 지붕
에 설치하면 된다고 하나 그 넓은 면적의 지붕을 확보하는것도 말처럼 쉬
운 일은 아닐것이다.

한편 태양빛전기를 저장하기 위한 축전지는 니켈이나 카드늄이 주성분이
니 그 또한 환경오염을 유발시키는 중금속 덩어리이다.

이처럼 비싸고 자체적으로 환경오염 문제를 안고있는 태양에너지의 결정적
인 단점은 흐린 날은 발전을 할 수 없어 지속적인 전기공급이 불가능 하여
예비 발전시설이 준비되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결국 태양빛발전은 일부 환경단체가 주장하듯이 당장 원자력발전을 대체
할 꿈의 에너지원이 결코 아니다.

물론 우리나라도 미래를 위해 태양에너지를 비롯한 대체에너지에 대해 아
낌없는 투자를 하고 연구를 해야함은 마땅하다.

환경단체도 이제는 높아진 위상에 걸맞게 국가경제와 에너지 수급사정에
대해 제대로 공부하고 책임있는 말과 행동을 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