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가기념식 모아보기
본문

시청자의견

결과보고

글자확대 글자축소
작성자 : 광주비엔날레기획홍보(광주비**)
등록일 : 2004.02.03 11:11
* 광주비엔날레 ''참여관객 워크숍'' 보고서 * 2004. 1. 27 광주만의 정체성 반영 차별화 필요 2004 제5회 광주비엔날레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현대미술의 과제인 예술과 관객의 간극을 메우는, 이른바 `차별성''을 부각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 됐다. 25일 (재)광주비엔날레가 최근 폐막된 `참여관객 워크숍''의 토론내용을 정 리·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30여개국 40여명의 참여관객들은 “그런 맥락에 서 올해 처음으로 시도하는 `참여관객제''는 성공비엔날레로의 가능성을 여 는 열쇠가 될 것”이라고 의견을 모았다. 슬로베니아 출신의 요셉 라스코(인권운동가)씨는 “예술은 있는 그대로의 현실을 보여주는 사실성에 기초할때 관객들에게 진정한 감동과 기쁨을 줄 수 있다”면서 “광주비엔날레와 같은 미술이벤트들이 다른 나라, 다른 계층 의 사람들을 하나로 묶는 소통의 장으로 거듭나야 한다”고 말했다. 미국에서 미디어운동가로 활동하고 있는 피터 쾅씨는 “우리는 너무 `예 의''를 갖추느라 정치적이고 민감한 이슈들을 미술언어로 표현하는 데 인색 하다. `5·18''의 아픈 역사를 갖고 있는 광주는 비엔날레를 통해 항쟁과정에 서의 고통을 전 세계에 알려야 한다”며 광주의 정체성을 강조했다. `참여관객 워크숍''에서 소토론회를 이끌었던 4명의 어시스턴트 큐레이터 들 역시 “이번 제5회 광주비엔날레는 예술이 일상생활을 바꿀 수 있는 새로 운 전기가 될 것”이라고 한목소리를 냈다. 케리 브라우워 광주비엔날레 예술감독(미 스미소니언 허쉬흔 수석큐레이 터)은 “처음 `참여관객제''의 취지를 전해들었을 때 매우 흥미있는 시도라 고 생각했지만 한편으로는 너무 많은 사람들이 목소리를 내기 때문에 자칫 `배가 산으로 올라가지 않을까'' 걱정이 앞섰던 게 사실이었다”면서 “이번 워크숍에 참석한 관객들의 열의를 보고 이같은 기우가 사라졌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대부분의 참가자들이 `예술이 일상생활을 바꿀 수 있고 더 나 은 환경을 만들 수 있다''는 믿음을 가지고 있었다”며 “`참여관객제''라는 차 별화된 기획을 모든 작품과 음악, 마케팅, 미디어 관련 작업에 연결시키고 민주화 역사 등 광주만의 독자성도 전시기획에 적극 반영해 차별성을 도모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치카 오케케(어시스턴트 큐레이터·중동·아프리카 담당)씨는 “소그룹토론 에 함께 참여했던 초등학생들이 `숙제 때문에 어쩔 수 없이 관람했을 뿐 예 술이라는 생각을 하지 않았다''는 얘기를 듣고 전시기획자의 한 사람으로 서 큰 충격을 받았다”면서 “앞으로 모든 미술이벤트들은 관객들의 비난에 귀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고 말했다. 밀레나 칼리노브스카(어시스턴트 큐레이터·북남미 담당)는 “30여개국을 대 표해 선발된 참여관객들은 상이한 역사와 문화배경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 구하고 대중들로부터 유리된 현대미술에 대해 우려를 나타냈다”면서 이번 워크숍을 통해 전시기획자들이 해야 할 일이 무엇인지를 깨닫게 됐다고 토 로했다. 광주비엔날레재단은 이같은 참여관객들의 다양한 목소리를 수렴해 오는 2 월말까지 참여작가 선정을 마무리지을 예정이다. 이와함께 비엔날레 본전 시와 특별전 등의 전시작품과 축제프로그램 등에도 적극 반영할 계획이다. 관련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