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가기념식 모아보기
본문

시청자의견

대지진 또는 비행기가 충돌해도 처분장은 안전

글자확대 글자축소
작성자 : 원자력전문가(원자력**)
등록일 : 2004.02.05 16:49
대지진 또는 비행기가 충돌해도 처분장은 안전

지진 대비 안전설계기준
원자력발전소는 자연재해(지진, 태풍, 홍수)에 대해서도 안전성을 확보하
고 있습니다.
건설 부지를 결정할 때 리히터 6.0정도에서 견딜 수 있도록 하고, 철저한
지질조사 수행 및 지진의 원인이 되는 활성단층을 피합니다. 원자력발전소
는 지진에 의한 흔들림이 작고, 견고함 암반 위에 설치합니다. 내진설계를
할 때에는 주변의 활성단층과 과거에 발생한 지진 등을 상세하게 조사하고
직하 지진등도 고려하여 가상한 최대의 지진에 견딜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
다.
■ 원전은 견고한 암반 위에 건설
(그림)
■ 지진 발생시 조치









더욱이 건축기준법이 규정한 내진 설계상 지진력의 최대 3배를 가상하여 충
분한 여유가 있는 내진설계를 행하고 있습니다. 만약 지진이 일어나 원전
내의 지진계가 흔들림을 감지하면 원자로가 자동적으로 멈추게 되어 있습
니다.

1995년에 일어난 일본 고베지진은 리히터 규모 7.2로 고속도로가 파괴되는
등 도시전체가 폐허가 되었지만, 인근 11개 원전에는 전혀 피해가 없었다
는 사실은 원자력발전소의 내진성을 입증해 준 좋은 사례입니다.


위도 지진 대비설계
위도 반경 30Km 내에서 1978년에서 2003년 7월말 까지 25년간 총 7회 발
생하였으며, 규모 3.0이상 유감 지진은 2회로 국내 평균적 지진활동에 지나
지 않았으며, 수거물 처분장은 리히터 규모 6.5~7.0 정도 지진에 대비한 내
진 설계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비행기 충돌 대비 원전설계
원자력 발전소 상공은 반경 3.2Km가 비행 제한구역인데다 격납건물이 원
전의 중앙부에 위치해 있고 외형이 원형이며 높이가 45m로 낮아 항공기가
추락할 가능성은 극히 희박하나, 원자로 설비들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
게 설계, 시공하였습니다.


국내 원자력 규제기관이 구조적 안전성을 평가한 결과, 150톤인 보잉 707
기가 초속 103m(시속 360Km)의 속도로 격납용기에 충돌 시 28m2
의 부분 파괴가 발생하나 두께 1.2m의 콘크리트/철근이 항공기 관통을 저
지하여 원자로심의 파손 상황은 초래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습니다.

건설 부지를 결정할 때 리히터 6.0정도에서 견딜 수 있도록 하고,
철저한 지질조사 수행 및 지진의 원인이 되는 활성단층을 피합니다.
더욱이 건축기준법이 규정한 내진 설계상 지진력의 최대 3배를
가상하여 충분한 여유가 있는 내진설계를 행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