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한일 정상회담 한미 정상회담
본문

KTV 국민방송

대전시, 성별영향평가 추진 가장 앞서

생방송 국정현장

대전시, 성별영향평가 추진 가장 앞서

등록일 : 2006.04.11

대전광역시가 2005년도 성별영향평가 결과, 최우수 기관으로 선정됐습니다. 또 과학기술부의 ‘과학기술 홍보대사 사업’은 최우수 성별영향평가 사례로 꼽혔습니다.

성별영향평가제란 정부의 정책이나 제도가 여성과 남성, 각 성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평가하는 제도입니다.

2004년 시범사업이후 2005년부터 41개 중앙행정기관과 16개 광역지방자치단체에 본격적으로 적용됐습니다.

평가 계획 수립과 평가 보고서, 업무 협조 등 3개 영역으로 나뉘어 성별영향평가 추진과 관련된 다양한 실적이 포괄적으로 평가하게 됩니다.

각 기관의 추진 실적을 분석하고 모범적인 기관과 사례를 발굴·보급함으로써 공무원의 인식을 제고하겠다는 것이 이 제도의 목표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2005년 성별영향평가 추진 실적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대전시가 가장 우수한 기관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대전광역시는 노인 일자리 창출사업과 장애인 재활 지원사업 등 총 4개의 평가과제를 수행했으며 특히 명확하고 구체적인 평가 계획과 적극적인 업무 협조로 높은 점수를 받았습니다.

기타 우수 기관으로 선정된 노동부와 경기도, 경상남도는 가장 많은 과제를 평가했습니다.

또한 가장 우수한 평가 사례로는 심층 평가는 과학기술부의 ‘과학기술 홍보대사 사업’, 자체 평가의 경우 충청남도의 ‘지방공무원교육훈련정책’이 각각 선정됐습니다.

특히 과기부는 학교 유형별 홍보대사 활용 정도와 홍보대사의 성별에 따른 강연 효과 등을 다차원적으로 분석하는 한편 다양하고 실현 가능한 정책 대안을 제시해 높은 점수를 받았습니다.

평가 결과에 따르면, 과학기술 홍보대사의 강연은 상대적으로 남자고등학교에 집중되어 여학생의 과학에 대한 선호도 저조로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따라서, 여학생에 뉴스레터를 발송하는 등 여학생의 강연 수혜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