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해외유전 개발에 투자된 금액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지만, 자주개발률은 아직 4%를 갓 넘은 수준입니다.
새 정부의 적극적인 자원외교로, 올해부터 해외유전 개발에 가속이 붙을 전망입니다.
김미정 기자>
지난해 국내 기업이 생산한 원유와 가스의 총 생산량은 4천570만 배럴.
해외유전개발을 통해 지금까지 확보한 매장량은 모두 22억5천만배럴로 집계됐습니다.
해외유전개발에 투자한 금액도 꾸준히 증가해 2005년 9억 5천만 달러에서 2006년 19억달러, 지난해엔 25억5천만달러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습니다.
지난 2004년부터 추진해 온 정부의 적극적인 자원외교정책으로 국내 기업들의 자원개발 투자환경이 크게 좋아진 데 따른 결과입니다.
그러나 지난해 우리나라의 석유.가스 자주개발률은 4.2%.
우리나라가 국내외에서 자체 생산한 원유.가스 물량이 아직 연간 국내 소비량의 4.2%에 그친다는 뜻입니다.
자주개발률은 2002년 2.8%에서 2004년 3.9%, 지난해 4.2%로 해마다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선진국에 비해서는 턱없이 부족한 수준입니다.
일본의 경우 지난 2005년을 기준으로 16.5%, 중국도 같은 해 14%의 자주개발률을 보였습니다.
두 나라 모두 최근 2년 사이에 해외유전의 인수에 활발히 나선 점을 감안하면, 최근의 수치는 더욱 높아졌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새 정부가 정권 초기부터 자원외교에 적극적으로 힘을 쏟는 이유입니다.
이명박 대통령은 당선인 시절인 이달 초 중동의 쿠르드 지역에 10억 배럴의 유전을 확보하는 등 자원외교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이 대통령은 취임사에서도 글로벌 외교를 통해 자원 확보에 힘쓸 것임을 특별히 강조했습니다.
전 세계가 에너지 자원 확보를 위해 총성없는 전쟁에 돌입한 지금, 새 정부의
전방위 자원외교가 본격화하고 있습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