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에서 유학한 우수한 인력들이 까다로운 절차와 자금 부족으로 국내 창업에 어려움이 많습니다.
이들을 위한 정부의 창업지원 프로그램이 다음달부터 본격 시행됩니다.
김미정 기자>
미국의 유명 대학원을 졸업하고 얼마전 귀국한 서주민씨.
국내에서 창업을 하기 위해 여러 곳으로 발품을 팔고 있지만, 까다롭고 복잡한 절차에다 자금까지 부족해서 어려움이 큽니다.
지난해 해외로 나간 유학생은 21만 8천명.
서씨처럼 국내로 돌아와 창업을 희망하는 사람을 대상으로 정부의 지원 프로그램이 본격 시행됩니다.
지원대상은 한국 국적을 가지고 해외에서 석사 이상을 취득한 유학생으로, 귀국 예정이거나 귀국 후 거주기간이 1년 미만인 사람이 해당됩니다.
이들은 정부가 마련한 창업 보육센터를 통해 기업 설립부터 자금, 입지 선정까지 여러가지 창업 교육을 받게 됩니다.
먼저 창업자금의 경우 중소기업진흥공단 등 관계기관의 심사를 거쳐 최대 1억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또 창업보육센터에 입주해 정부와 공동으로 기술개발에 참여하면 최대 3억원 이내에서 기술개발비의 75%까지 지원됩니다.
정부는 생명기술과 나노, 환경 분야와 같은 신기술과 지식기반 서비스업 분야를 우선 지원하고 앞으로 점차 확대해나갈 계획입니다.
해외 유학생 한 사람이 국내로 돌아와 창업하는 데 들어가는 돈은 연간 7백만원 이상.
정부는 이번 프로그램을 통해 연간 4천5백억원 정도의 지원 효과가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