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가기념식 모아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확산되는 '꽃 자판기' 졸업철 인기

국민리포트 토요일 10시 50분

확산되는 '꽃 자판기' 졸업철 인기

등록일 : 2017.02.27

앵커>
해마다 졸업·입학철인 이맘때면 많이 찾게 되는 게 바로 꽃이죠.
물론 생화를 사서 축하하는 경우가 아직 대부분이지만 요즘엔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꽃을 살 수 있는 자판기가 등장해서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
편리함에 힘입어서 점차 확산되는 추세라는데요.
이지현 국민기자가 알아봤습니다.
[기사내용]
졸업식이 열린 서울의 한 중학교.
지난해만 해도 학교 앞이 꽃을 파는 상인들로 북적였지만 올해는 한산하기만 합니다.
꽃다발도 말린 꽃인 드라이플라워나 사탕다발 꾸러미가 먼저 눈에 뜁니다.
실속을 따지는 문화가 확산되면서 비용 부담이 큰 생화를 사치로 인식하는 사람들이 늘었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허아영 / 서울 동대문구
“동생 졸업식에 오게 됐는데 아무래도 생화는 가격이 부담스러워 꽃 자판기를 이용해 드라이플라워를 선물하게 됐습니다.”
달라진 졸업식 풍경, 그 뒤에 꽃 자판기가 있다는 얘기입니다.
거리 곳곳에 등장하면서 신기한 듯 구경하는 사람들로 북적입니다.
여기는 홍대에 위치한 꽃 자판기 앞입니다.
원하는 꽃의 번호를 고른 뒤 해당하는 금액을 결제하면 이렇게 손쉽게 꽃을 구매할 수 있습니다.
지난해 처음 등장한 꽃 자판기는 SNS에서 화제가 되면서 전국으로 퍼져나가고 있습니다.
자판기 안에 있는 꽃은 제철 꽃으로 대략 10여 가지 정도, 일정한 약품 처리를 한 것으로 시간이 지나도 색깔과 형태가 그대로 유지됩니다.
생화처럼 온도와 습도를 관리하지 않아도 돼 보관이 쉽습니다.
만 원대 가격에 시간 제한 없이 꽃을 자유롭게 고를 수 있는 것도 장점으로 꼽힙니다.
인터뷰> 차건우 / 경기도 의정부시
“여자 친구에게 꽃 선물을 하려고 하는데 꽃 이름도 잘 모르고 꽃 가게에 들어가는 게 사실 부끄러웠거든요 꽃 자판기가 있으니 편하게 구매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꽃 자판기 사업에 뛰어든 곳은 창업에 관심 있는 개인과 화훼농가를 도우려는 농수산식품유통공사.
전화 인터뷰> 현정혜 대리 / aT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화훼기획부
“(꽃 자판기를 통해) 일상 속에서 꽃 소비가 늘어나면 궁극적으로 소비가 늘 것이고 그러면 화훼를 생산하시는 농가들에게도 수요자 안정이라든가 출하 가격 상승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경기 침체에다 청탁금지법으로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바로 화훼 농가.
지난해 우리나라 꽃 소비는 국민 한 사람이 연간 만 3천 원 수준으로 화훼선진국이라 불리는 노르웨이 16만 원, 스위스 15만 원과 비교하면 10% 수준으로 떨어졌습니다.
이런 추세가 지속된다면 화훼산업이 벼랑 끝으로 내몰릴 수도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등장한 꽃 자판기는 번화가에 들어서 있어 특별한 날이 아니라도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화훼농가에 적지 않은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되는 것도 이 때문입니다.
하지만 꽃 자판기가 갖는 약점도 있습니다.
무엇보다 상대방에게 풍성한 꽃다발을 줄 수 없다는 점, 또 여러 가지 꽃을 섞어 선물로 주고 싶은 사람들까지 다양한 취향을 맞출 수 없습니다.
인터뷰> 윤숙영 / 서울 동대문구
“꽃 자판기 이용이 편리하긴 한데 제가 원하는 꽃다발 크기나 꽃의 종류를 직접 구성할 수 없는 점이 아쉽네요.”
화훼농가들의 어려움 속에 확산되고 있는 꽃 자판기, 과연 새로운 꽃 소비문화를 만들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국민리포트 이지현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