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청년내일채움공제 [아시나요]
정부정책을 알기 쉽게 설명해드리는 시간, 오늘은 청년내일채움공제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청년 실업률이 여전히 높은 가운데, 문재인 정부도 청년일자리 창출 정책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데요.
이 가운데 하나가 청년내일채움공제입니다.
만 15세 이상~ 34세 이하의 청년 근로자가 중소기업에서 정규직으로 2년 동안 근무하면서 300만 원을 납입하면, 여기에 정부가 600만 원, 기업이 300만 원을 적립해 총 1,200만 원을 마련해주는 제도인데요.
지난해에 도입된 이 제도가 이번에 일자리추경이 통과되면, 앞으로 더 확대될 예정입니다.
청년 근로자는 지금처럼 2년동안 300만원을 납입하고요.
정부가 900만원, 기업이 400만원으로 적립금을 높여 총 1,600만원의 목돈이 생기는 겁니다.
정부는 지원대상 인원을 5만 명에서 6만 명으로 늘리겠다고 밝혔는데요.
그럼 청년내일채움공제를 받을 수 있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먼저 청년내일채움공제 홈페이지 (www.work.go.kr/youngtommorrow)에 들어가셔서 메뉴에서 '구인'탭을 클릭합니다.
다양한 기업의 채용공고를 볼 수 있는데요.
여기서 원하는 지역과 업종을 선택하고, 관심있는 기업이 있다면, 채용공고 등록기관 정보에 있는 전화번호로 연락을 해봅니다.
운영기관의 알선을 통해 채용된 경우에 한해 청년내일채움공제를 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 정부에서 운영하는 청년취업인턴제나 일학습병행제, 취업성공패키지에 참여해 정규직으로 전환된 경우에도 청년내일채움공제를 신청할 수 있는데요.
청년내일채움공제 홈페이지에서 '청년'을 클릭해 신청합니다.
앞서 말씀드린 청년취업인턴제나 일학습병행제, 취업성공패키지 등 자신의 해당 사항에 클릭하고, 자신의 정보를 입력한 뒤 연락을 기다리면 됩니다.
중소기업에 취업한 사회초년생이 300만원으로 목돈을 만들 수 있는 방법, 청년내일채움공제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