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카풀, 선택권과 생존권 [유용화의 오늘의 눈]

KTV 대한뉴스 월~금요일 19시 00분

카풀, 선택권과 생존권 [유용화의 오늘의 눈]

등록일 : 2018.12.20

유용화 앵커>
소비자선택권을 넓히는 것이 중요한가,
아니면 택시업계 종사자들의 생존권 보호가 우선돼야 하는가요
카카오 카풀제 전격시행을 앞두고 택시업계의 반발이 대단합니다.

얼마 전 한 택시기사의 분신과 택시기사들의 전국적인 항의와 시위 등으로 인해 그 갈등이 고조에 이르고 있습니다.

국민들은 그동안 택시의 서비스 질 저하와 사용불편 등 때문에 카풀제를 은근히 반기고 있습니다.

택시비가 결코 저렴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 심야시간이나 급할 때 택시잡기는 매우 어렵습니다.

일상적으로도 택시탑승은 유쾌한 분위기를 제공하지도 않습니다.

즉 승객우선의 탑승권보다 택시기사들의 영업권이 더 우월했던 것도 부정할 수 없습니다.

이러한 문제점과 모순을 파고들어 승객우선의 탑승 질을 높이고, 공유경제적 시대적 흐름까지 내세우는 모빌리티 카풀제는 당연히 국민의 환영을 받을 수 밖에 없는 것입니다.

사실 그동안 도로교통의 기득권을 누려왔던 택시업계는 긴장할 수 밖에 없고, 국민 편의성과 서비스 보장 우선이라는 측면에서 후발산업으로 전락할 우려도 보이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 지점에서 우리는 주요한 시민교통수단인 택시가 왜 이렇게 후진적인 굴레에 쌓여 있는가를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택시정치라 말이 있습니다.

택시기사들이 여론을 조성하기 때문에 정치인들이 눈치를 살핀다는 것이죠.

실례로 여야합의로 2012년 국회에서 통과됐던 대중교통 육성 및 이용촉진법 개정안은, 택시를 대중교통 수단으로 인정하여, 준공영제 성격을 강화시키기 위해 국고를 지원한다는 것이었습니다.

당시 대선을 앞두고서 이 법은 국회를 통과했는데요,
선거가 끝난 뒤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했습니다.

국민들의 반대가 워낙 거셌기 때문입니다.

현재 택시 숫자는 적지 않습니다.

전국적으로 약 25만대입니다.

개인택시 면허도 포화상태입니다.

전국의 1700여개 회사택시가 있지만 약 55%밖에 가동되지 못합니다.

현재 택시기사들 중 90세 이상 고령자는 237명, 65세 이상은 27.1% 7만 2800여명에 이릅니다.

고령자 택시기사들은 대개 밤에는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택시기사들이 부족해서 심야에 택시잡기 힘든 것이 아니죠.

택시의 불친절 등은 제대로 개선되고 있지 못합니다.

즉 문제는 그동안의 택시정책이 그 원칙과 방향을 잡아서 집행되기 보다, 택시업계의 요구가 우선시 돼고, 그 동안 개선돼야 할 사항들이 전혀 진척이 없었기 때문에, 문제가 곪을대로 곪아서 터졌다는 것이죠.

즉 택시정치가 현재의 난국형성에 한몫 했다는 것입니다.

더욱이 모빌리티 혁명, 공유경제 물결이 몰아닥치자, 수용하지 못하는 택시업계는 생존권 차원에서 강하게 항의 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된 것입니다.

하여튼 현재의 과도적 상황을 슬기롭게 해결할 방안을 찾을 수 밖에 없을 것 같은데요.

택시업계의 생존권도 일정 보장해 주고, 이들과 함께 공유경제의 틀과 내용을 함께 하는 수밖에 없을 것 같은데요.

결코 쉬워보이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

한동안 국민들은 교통수단 으로서의 택시, 공유경제 덕을 보기는 쉽지 않을 듯 합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대한뉴스 (127회) 클립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