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증강현실'로 만나는 돈의문···'디지털 복원' 활용 [현장in]

KTV 대한뉴스 월~금요일 19시 00분

'증강현실'로 만나는 돈의문···'디지털 복원' 활용 [현장in]

등록일 : 2019.08.22

유용화 앵커>
일제가 철거한 돈의문은 그동안 주변건물과 교통난을 이유로 실물 복원이 어려웠는데요.
이번에 증강현실을 통해 104년 만에 복원에 성공했습니다.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면서 문화재 복원의 길이 다양해졌다는 평가입니다.
현장인, 박지선 기자입니다.

박지선 기자>
서울 사대문 중 하나인 '돈의문'.
'의로움을 돈독히 한다'는 뜻으로, 서쪽에 있다고 해서 '서대문'으로 더 알려져있습니다.
1915년 일제가 도로확장 공사를 명분으로 헐값에 경매에 부친 뒤 철거했습니다.
옛터에 도로가 놓이고 건물이 들어서면서 실물 원형 보존은 점점 어려워졌습니다.
억 단위의 건물 매입 비용과 인근 교통난 등 현실적인 문제가 산적한 탓입니다.
삶의 터전을 유지하면서 후대에 우리 문화유산을 전할 수 있는 방법은 뭘까.
문화재청은 지난해 IT 기업들과 손잡고 '디지털 복원'에 나섰습니다.
돈의문의 철거 전 사진자료를 바탕으로 복원 도면을 작성한 뒤 증강현실(AR) 기술을 활용해 104년 만에 눈 앞에 돈의문이 펼쳐진 겁니다.

녹취> 김왕직 / 명지대학교 건축학부 교수
"철거 이전 사진자료가 다행히 남아 있어서 그리드법 분석을 통한 복원 도면을 작성하게 되었고 디지털 복원을 통해서 실물을 정확히 고증을 했습니다."

박지선 기자 jsp900@korea.kr>
"제 뒤로는 정동사거리가 자리하고 있는데요. 원래 서울 사대문 중 하나인 돈의문이 있었던 곳입니다. 돈의문 모바일 앱을 실행한 뒤 이렇게 옛 터에 비추면 104년 전 당시 모습이 그대로 구현됩니다."

처마 끝과 단청, 현판까지 고증을 거쳐 화려하면서도 절제미를 갖춘 옛 돈의문이 위용을 드러냅니다.
마치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는 모습입니다.
아예 가상현실로 들어와 당시 돈의문과 한양 도성 풍경을 감상할 수도 있습니다.
이처럼 '디지털 복원'은 문화재 복원의 새로운 길을 열어주고 있습니다.

인터뷰> 박종서 / 문화재보존과학센터 학예연구관
"구부러진 부분을 원래 형태로 펴거나 절단된 부분들을 프로그램을 통해서 붙이는 작업을 통해 복원을 하게 됩니다. 디지털 복원 자료가 있으면 온라인 상으로 함께 공유할 수 있어서 문화재에 대한 접근성이 좋아지게 되고요. 파괴된 유적을 가상복원을 통해 복원함으로써 과거와의 소통, 교감이 효과적으로 될 수 있습니다."

디지털 복원은 주로 IT 기기를 활용해 작업이 이뤄지다보니 실물 문화재에 가하는 물리력이 덜해 보존과정에서 손상될 우려도 적습니다.
특히 우리나라는 국가지정문화재 중 화재에 취약한 종이, 목재류가 약 40%를 차지하기 때문에 전문가들은 도면 등 유물에 대한 자료를 미리 디지털화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합니다.
(영상취재: 오민호 백영석 송기수 / 영상편집: 양세형)

현장인 박지선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대한뉴스 (293회) 클립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