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1989년 대화관계 수립···한·아세안 30년

KTV 대한뉴스 월~금요일 19시 00분

1989년 대화관계 수립···한·아세안 30년

등록일 : 2019.11.05

유용화 앵커>
앞서 전해드린대로 문재인 대통령은 오늘 아세안 관련 회의에 참석했는데요.

신경은 앵커>
우리나라와 아세안의 관계를 김용민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김용민 기자>
우리나라와 아세안의 관계는 30년을 거슬러 올라갑니다.
1989년 대화관계를 수립한 이후 아세안의 대화상대국은
베트남, 태국 등 메콩강 유역 5개 나라를 포함해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등 모두 10개 나라입니다.
한 아세안은 지난 2010년 전략적 동반자 관계로 격상시키고, 이번 특별정상회의를 계기로 협력의 양과 질을 크게 확대해 나갈 계획입니다.
문재인 대통령도 한-아세안 외교를 주변 4국 수준으로 격상시킬 것으로 공약하고, 신남방정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태국에서 열리는 아세안+3 회의도 지역의 실질적인 협력 사업이 논의되는 회의로서 주목받고 있습니다.

녹취> 주형철 / 청와대 경제보좌관
"아세안+3 국가들의 미래 세대의 역량 강화, 지속가능한 공동체 건설, 역내 연계성 강화 등에 대한 노력 필요성을 강조하고.."

1997년 아세안 창설 30주년을 맞아 한중일 3개국 정상의 동시 초청으로 시작된 아세안+3회의는 현재 금융, 식량, 보건 등 20여개 분야에서 60개 이상의 회의체가 운영되고 있습니다.
또 100개 이상의 협력 사업이 이행돼 역내 가장 활발한 협력이 이뤄지고 있다는 평가입니다.
이와 함께 동아시아의 공동체 형성을 위한 또 하나의 다자회의, 동아시아정상회의도 큰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EAS는 아세안 10개국과 한중일, 호주, 인도 뉴질랜드 등 기존 회원국에 미국과 러시아가 가입해 역내 정치적, 전략적 현안에 대한 대화의 장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또 통상적으로 지역 안보 관련 다양한 논의가 이뤄져 왔습니다.
(영상편집: 박민호)
청와대는 이번 아세안관련 정상회의를 통해 신남방정책을 강화하고,' 경제협력, 인적교류 등을 확대해 나갈 방침이라고 설명했습니다.

KTV 김용민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