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지난해 취업자 30만 명 증가···고용률 역대 최고

KTV 뉴스중심

지난해 취업자 30만 명 증가···고용률 역대 최고

등록일 : 2020.01.15

이혜은 앵커>
지난해 취업자 수가 30만 천 명 증가하고 고용률도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보도에 문기혁 기자입니다.

문기혁 기자>
지난해 취업자 수는 2천712만 3천 명으로, 1년 전보다 30만 1천 명 증가했습니다.
당초 정부 목표인 20만 명을 넘어섰고, 2017년 이후 2년 만에 30만 명대를 회복했습니다.
고용률은 0.2% 포인트 오른 60.9%를 기록했습니다.
생산가능인구인 15세 이상, 64세 이하 고용률도 0.2% 포인트 상승해 66.8%로 집계됐습니다.
모두 통계 작성 이후 최고 수준입니다.
실업자 수는 106만 3천 명으로 1년 전보다 1만 명 줄었는데, 2013년 이후 6년 만에 처음으로 감소했습니다.
실업률은 3.8%로 1년 전과 같았지만, 2013년 이후의 상승세가 멈췄습니다.
상용직 근로자와 고용보험 가입자가 확대되는 등 고용의 질도 개선됐습니다.

녹취> 홍남기 / 경제부총리
"지난해에는 일자리 중심 국정운영의 성과가 가시화되며 고용이 양적·질적으로 뚜렷한 개선흐름을 보인 '일자리 반등의 해'였습니다. 우선, 취업자 증가, 고용률, 실업 등 3대 고용지표가 모두 개선되면서..."

청년층은 인구 감소에도 취업자가 4만 1천 명 늘었습니다.
고용률은 0.8% 포인트 상승한 43.5%로 2006년 이후 13년 만에 가장 높았고, 실업률은 8.9%로 2013년 이후 6년 만에 가장 낮았습니다.
여성과 고령층의 고용률도 각각 51.6%와 32.9%로 역대 최고치를 나타냈습니다.
다만, 40대와 제조업 부진은 계속됐습니다.
40대 취업자 수는 인구 감소 숫자를 넘어 16만 2천 명 줄었고, 제조업은 8만 1천 명으로, 감소 폭이 확대됐습니다.

녹취> 홍남기 / 경제부총리
"고용 개선 흐름에도 불구하고, 우리 경제의 허리라 할 수 있는 40대와 주력산업인 제조업에서의 고용이 부진한 흐름을 보인 것은 무엇보다 가장 아쉬운 부분이 아닐 수 없습니다."

정부는 오는 3월까지 40대 일자리 맞춤형 종합대책을 마련할 계획입니다.
(영상취재: 박상훈 / 영상편집: 박민호)

KTV 문기혁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