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가기념식 모아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철도 역사를 엿볼 수 있는 기증품 '눈길'

국민리포트 금요일 11시 40분

철도 역사를 엿볼 수 있는 기증품 '눈길'

등록일 : 2020.02.11

김제영 앵커>
요즘 추억을 떠올리게 하는 '옛 것'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는데요.
이제 열차는 서지 않지만 철도 관련 역사를 돌아볼 수 있는 역 건물이 남아 있어서 지역주민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곳에서 일하던 역무원이 자신이 쓰던 소장품을 기증해 눈길을 끌고 있는데요.
김용옥 국민기자가 다녀왔습니다.

김용옥 국민기자>
(옛 일산역 / 경기도 고양시)
일제강점기인 1930년대에 지어진 옛 일산역,
다른 역과는 달리 목조 건물로 만든 근대문화유산으로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돼있는데요.
철도 역사 전시관으로 활용되고 있는 이곳, 다양한 철도 관련 전시물을 볼 수 있는데요.
과거 열차표와 개표기, 기차 운행에 필요한 운전 허가증, 그리고 열차 시간표와 운임표를 적어놓은 안내 판넬까지.
추억의 시간 여행을 하는 듯합니다.

인터뷰> 안수헌 / 서울시 은평구
"우연한 기회에 일산역 전시관에 와서 우리 경의선에 대하여 새롭게 알게 되었고 일산역 주변 모르는 부분도 알게 되었는데..."

얼마 전 철도 관련 소장품을 기증한 문원모씨가 이곳을 찾았는데요.
과거 열차를 모는 기관사로 일했던 문 씨, 기관사 복장과 명찰, 모자부터 열차 운행 상황을 일기처럼 기록한 승무일지, 안전 운행에 필요한 규정집까지.
아끼는 소장품을 선뜻 기증했습니다.
새삼 감회에 젖은 문 씨, 근무 당시 복장과 모자를 잠시 갖춰입고 열차 모형 앞에서 신호 깃발을 들어봅니다.

현장음>
"와도 좋다 그런 녹색 신호고 이건 오지 마라 정지신호..."

인터뷰> 문원모 / 기관사 소장품 기증자
"여러 사람들이 볼 수 있는 전시관에 기증하면 저와 같은 마음을 가진 또 다른 분들도 기증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 같아서..."

과거 일산역을 이용한 사람들이 찍은 흑백사진도 볼 수 있는데요.
모두 50년이 훌쩍 넘은 빛바랜 사진들, 일산역과 추억에 얽힌 사진 공모전 입상작들로 모두 기증을 받은 것인데요.
이곳을 찾은 실제 사진 속 주인공이 어릴 적 상황을 이야기합니다.

현장음>
"우리 언니, 친구, 나하고 내 친구, 제일 아래 동생, 바로 아래 동생..."

인터뷰> 노은복 / 경기도 고양시
"옛날 사진이 추억거리가 되고 소중한 사진이라서 너무 좋네요."

인터뷰> 김가영 / 옛 일산역 전시관 담당자
"주민분들, 또 철도에 근무하셨던 기존 역무원들께서 많이 기증을 해주시면서 전시관에 콘텐츠도 많아지고 볼거리도 많아지고 있는데요..."

과거 역무원이 승객들의 기차표를 일일이 확인했던 이른바 '기차표 개표' 체험도 할 수 있습니다.

현장음>
"기차 타려면 이 표를 사가지고 타던 생각이 나고 옛 생각이 많이 나네요."

일제가 군수물자 수송을 위해 만든 경의선 구간에 있었던 이곳 옛 일산역, 독립운동가들이 열차를 타고 중국을 오가면서 항일투쟁을 했던 곳으로 역사의 산교육장이 되기도 합니다.

현장음>
"(일본군을) 사살하기도 하고 그런 민족저항운동을 한 역사가 일산역이었어요."

(촬영: 배아름 국민기자)

전시관에서는 영상을 통해 우리나라 철도의 역사를 볼 수 있고 전시관 밖에서는 옛 철길 위에 서 있는 열차를 배경으로 기념사진도 남길 수 있어 찾는 사람들의 발길이 늘고 있습니다.

이제는 등록문화재로 남아 있는 추억의 옛 일산역, 철도 관련 물품 기증이 잇따르면서 지역의 새로운 명소로 자리잡아가고 있습니다.

국민리포트 김용옥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