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 다시보기 시간입니다.
조선일보는 지난 15일 ‘1년 앞도 못 내다본 전자여권’이란 제목의 기사를 실었습니다.
조선일보는 정부가 전사식 여권으로 교체한 지 1년만에 전자여권 도입을 추진했다면서, 전자여권 발급과 동시에 신청이 집중돼 여권대란이 벌어질 것이라고 보도했습니다.
외교통상부 김봉현 재외동포영사국장 전화연결 돼 있습니다.
보도에 대한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안녕하십니까?
Q1> 조선일보는 사진부착식 여권에서 전사식으로 교체된 지 얼마되지 않아 정부가 전자여권 도입을 추진했다면서 `1년 앞도 못 내다봤다`고 주장했습니다.
사실은 어떠한지, 그리고 전자여권 도입과 관련해 어느정도 논의가 진행되고 있는지 말씀 부탁드립니다.
Q2> 조선일보는 전자여권을 소지해야만 미국에 무비자 입국이 가능하다면서 전자여권 신청이 집중돼 여권대란이 일어날 것이라고 주장했는데요,
이런 주장에 대해선 어떻게 보십니까?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국정와이드 (428회) 클립영상
-
균형발전, 수도권 발전위해 필요
47:42
-
1차 선발대 체류일정, 숙소, 참관지 등 확정
47:42
-
6자회담 순연, 중국 중유 수송 늦어져
47:42
-
IAEA 총회 개막.. 대북 핵안전조치 적용 논의
47:42
-
`위파` 대비 철저
47:42
-
노 대통령, `수해 복구 행정력 총동원`
47:42
-
태풍 `나리` 피해자 세금징수 유예
47:42
-
태풍 `위파` 영향 19∼20일 많은 비
47:42
-
한.EU, `관세 조기철폐 비율` 신경전
47:42
-
중남미도 FTA 파트너
47:42
-
삼성硏 `내년 경제 5.0% 성장 전망`
47:42
-
`실록` 교육정책사
47:42
-
기초생활보장 수급금, 압류걱정에서 해방
47:42
-
11월부터 영세가맹점 카드 수수료 인하
47:42
-
여권대란 우려없다
47:42
-
맑게 개인 서울하늘
47:42
-
청약가점제 시행, 어떻게 되나
47:42
-
정부, 청약가점제 `당락 점수` 공개 검토
47:42
-
BK21, 최하위 사업 지원금 67억원 삭감
47:42
-
언론매체 신뢰도는?
47:42
-
전자정부 성과 한눈에
47:42
-
국내기업 해외서 담합 과징금 7천6백억원
47:42
-
해외이민 알선 관련 소비자 피해 증가
47:42
-
순간포착
47: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