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포스트 코로나19 한국 경제·사회 잠재력은?

생방송 대한민국 1부 월~금요일 10시 00분

포스트 코로나19 한국 경제·사회 잠재력은?

등록일 : 2020.04.29

최대환 앵커>
IMF의 이번 보고서 제목은 Great Lockdown, 즉 ‘대봉쇄 입니다.
코로나19에 의한 각국의 봉쇄 조치로 선진국, 신흥국 개도국이 모두 피해갈 수 없는 경제위기를 예고하고 나선겁니다.
이런 중 IMF가 예측한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은 -1.2% OECD 중 가장 나은 수치입니다.
다행스럽게도 버틸 능력이 있다는 진단입니다.
가장 큰 이유는 한국이 투명성과 시민들의 자발적인 협조로 코로나19 방역에서 성과를 보여줬기 때문인데요.
오래 전부터 이런 한국 사회의 저력을 높이 평가해 온 전문가가 있습니다.
주한미국상공회의소 회장을 다섯 번 역임했고 2001년 다이나믹 코리아라는 슬로건을 제안했던 국제 변호사인데요.
그는 지금 코로나19 이후의 한국에서 어떤 가능성을 보고 있을까요?

최대환 앵커>
제프리 존스 주한미국상공회의소 이사회장과 함께합니다.
안녕하세요.

(출연: 제프리 존스 / 주한미군상공회의소 이사회장)

최대환 앵커>
미국상의의 경우 3월 5일에 이미 코로나19 관련 한국 대처를 신뢰한다는 입장을 내놨는데 어떤 면을 보고 내린 결정이었습니까?

최대환 앵커>
이사회장님은 늘 한국 사회에 대해 질서 있고 빠르다는 평가를 내려오셨는데요.
반면 유럽의 일부 언론에서는 이번 코로나19 사태를 두고 한국 시민 사회의 순종적인 특징에 주목하기도 했습니다.
이런 시각은 어떻게 보시는지요?

최대환 앵커>
이제 코로나19 대응 만큼이나 경제적인 위기가 심각한 과제로 다가오고 있습니다.
2008년 글로벌 경제 위기보다 더 큰 실물경제 위기가 예상되고 있고요.
IMF는 보고서 제목을 대봉쇄라고 명명하기도 했습니다.
앞으로의 경제적 흐름 어떻게 파악하십니까?

최대환 앵커>
관련해서 신보호주의도 가속화될 것으로 예측되는데요.
어떤 변화가 일어날 것으로 보십니까?

최대환 앵커>
한국 입장에서는 달갑지 않은 문제가 될 것 같은데요.
한국 경제 영향은 어떻게 보시는지 또 그럼에도 불구하고 IMF가 한국의 경제성장률을 상대적으로 낙관적으로 보는 이유는 무엇일지요?

최대환 앵커>
한편으로 디지털경제 시대가 도래할 것이라는 이야기도 나옵니다.
또 일의 미래에 대한 고민도 함께 해봐야할 때가 아닌가 싶은데요.
이 부분에 대한 견해를 여쭤봐도 될까요?

최대환 앵커>
그렇다면 한국 경제가 4차 산업혁명에서 주도권을 잡기 위해 집중해야 할 산업정책은 무엇일지요?

최대환 앵커>
포스트 코로나19를 준비하는 지금 시점에서 정부와 국민들의 과제, 마무리 말씀으로 부탁드립니다.

최대환 앵커 >
지금까지 제프리 존스 주한미국상공회의소 이사회장과 이야기 나눴습니다.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