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DMZ 실태조사···"평화지대·세계유산 위한 첫걸음"

KTV 대한뉴스 월~금요일 19시 00분

DMZ 실태조사···"평화지대·세계유산 위한 첫걸음"

등록일 : 2020.05.26

유용화 앵커>
남북을 가로지르는 비무장지대, DMZ의 평화지 대화는 물론, 세계 유산 등재를 위한 본격적인 움직임이 시작됐습니다.
문화재청이 앞으로 1년 동안 DMZ의 문화와 자연 유산 실태조사를 진행하는데요.
분단 이후 70여 년 만입니다.
이리나 기자입니다.

군사분계선과의 거리가 고작 4백 미터에 불과한 비무장지대 속 대성동 마을.
비무장지대의 유일한 교육시설인 초등학교도 있습니다.
마을 풍경은 여느 농촌과 다를 바 없지만, 육안으로도 북한땅이 보입니다.
분단 이후 70여 년 동안 인간의 발길이 닫지 않은 비무장 지대는 멸종위기종 백여 종이 서식해 생태적 가치가 뛰어날 뿐 아니라 6·25전쟁의 상흔이 남아 있어 전쟁 유산으로서 특수성도 지니고 있습니다.
4.27 판문점 선언에서 남북이 합의한 비무장지대의 평화지대화를 위해 비무장지대의 유산에 대한 실태조사가 처음으로 이뤄집니다.
첫 조사 대상지인 대성동 마을과 판문점 등 분단 경관을 간직한 2곳을 포함해 백마고지와 화살머리고지 등 전적지와 도라산 봉수와 태봉국 철원성 등 문화유산, 건봉산과 향로봉 등 자연유산이 조상 대상에 올랐습니다.
1년에 걸친 이번 실태조사로 비무장 지대를 국제평화지대로 탈바꿈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모으고, 분단이 가져온 문화경관의 변화도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인터뷰> 조은경 / 국립문화재연구소 연구관
"전체적인 조사가 이뤄진 적이 거의 없습니다. 이번에 DMZ 대한 형성 과정과 의미, 역사성을 보여줄 수 있는 구성요소를 대상으로 전체조사를 하고 새롭게 그 가치를 실체적으로 증명할 수 있는 자료들을 확보한다는 점에서 기대가 됩니다."

문화재청은 이번 조사에서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위한 필수 조건인 '탁월한 보편적 가치'를 뒷받침할 만한 유산도 파악해 나갈 계획입니다.
(영상편집: 김종석)

KTV 이리나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대한뉴스 (480회) 클립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