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민 앵커>
세계은행이 한국의 선진적인 의료수준과 성공적인 K-방역을 높이 평가해 '긴급의료 지정국가'로 우리나라를 선정했습니다.
정부는 한국의 의료기술이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것과 더불어 인바운드 의료 수출 확대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박천영 기자입니다.
1. K-방역으로 증명한 선진의료 '긴급의료 지정국' 선정
'긴급의료 지정국'은 세계은행 직원과 가족이 근무지에서 적합한 치료가 어려운 상황이 발생했을 때 의료와 생활여건이 우수한 국가를 지정해 해당국에서 진료를 받게 하는 제도입니다.
세계은행은 그동안 동아태지역 사무소의 경우 지리적 요인과 인프라 등을 고려해 태국과 싱가포르를 의료 지정국으로 활용해 왔습니다.
박천영 기자 pcy88@korea.kr
"'세계은행은 한국 정부와 국민의 코로나19 대응 조치에 큰 인상을 받았고, 다른 회원국들이 한국의 경험을 통해 얻을 교훈이 많다'고 평가했습니다. 그러면서 긴급의료 지정국가에 우리나라를 포함하기로 결정했는데요, 이에 따라 동아시아·태평양 지역 29개 나라에서 근무하는 세계은행 직원과 가족들에게 긴급한 상황이 발생하면 한국에서 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뿐만 아니라 세계은행은 한국의 코로나19 대응에 대한 사례 연구도 추진하고, 세계은행 보건 전문가를 한국사무소에 배치하는 등 보건·의료 분야의 구체적인 협력 방안도 전달해 왔습니다. 우리 정부는 한국의 의료기술이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것은 물론, 의료 수출 확대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2. 거리두기·휴교 없었다면? "한국인 73% 코로나19 걸렸을 것"
미국 UC 버클리 연구진들이 한국과 미국 등 6개 나라의 코로나19 확산 억제 정책의 효과를 분석했습니다.
과학저널 네이처에 실린 연구 결과에 따르면 사회적 거리두기와 휴교 등의 조치가 없었다면 코로나19 초기 전파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었을 거란 추정입니다.
박천영 기자 pcy88@korea.kr
"연구진은 자택 대피령과 여행 금지 등 코로나19 억제 조치가 내려지기 전후 감염률을 조사했습니다. 이를 통해 6개 나라, 6천200만 명이 코로나 확진을 피했고, 감염됐는데도 그 사실을 모르는 경우까지 포함한다면 5억3천만 명이 감염을 피한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국가별로 보면요, 우리나라의 경우 73.3%, 그러니까 10명 중 7명 이상이 억제 조치로 코로나19 감염을 피한 셈이 됩니다."
영국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의 연구진도 비슷한 연구 결과를 내놨습니다.
영국을 포함한 유럽 11개 나라에서 봉쇄령을 시행했고 감염률을 평균 82% 낮췄다는 설명입니다.
하지만 연구진은 이 같은 결과가 "나라를 영원히 봉쇄해야 한다고 말하는 것이 아니다"라면서, 확산을 막기 위한 일부 조치를 시행하는 한에서 경제활동을 어느 정도 정상화할 수 있다고 덧붙이기도 했습니다.
(영상편집: 이승준)
KTV 박천영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