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코로나 속 빛난 '비대면 정상외교'···K-방역 전파 [위기에서 빛난 2020]

KTV 대한뉴스 월~금요일 19시 00분

코로나 속 빛난 '비대면 정상외교'···K-방역 전파 [위기에서 빛난 2020]

등록일 : 2020.12.28

◇ 신경은 앵커>
2020년 한 해 정부의 성과를 돌아보는 시간입니다.
오늘 마지막 시간으로 코로나 확산 가운데 더욱 빛난 문재인 대통령의 '비대면 정상 외교'를 돌아보겠습니다.
박성욱 기자 나왔습니다.
박 기자, 올해가 33년 만에 대통령의 해외 순방이 없었던 해라고요?

◆ 박성욱 기자>
네, 그렇습니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세계 각국 정상들의 정상외교도 영향을 받았는데요.
문재인 대통령도 당초 올해 3월 아랍에미리트와 이집트, 터키 등 3개국 순방을 시작으로 APEC 정상회의, ASEM 정상회의 등 다양한 해외 순방에 나설 전망이었습니다.
하지만 코로나19 확산으로 대부분의 정상회의가 모두 비대면 방식인 화상으로 이뤄지면서 33년 만에 해외 순방이 없는 해로 기록되게 됐습니다.
문 대통령만 해외에 나가지 못한 것이 아니라 외국 정상의 방한도 없었던 만큼 사실상 올해 대면 정상외교가 없었던 셈이 됩니다.

◇ 신경은 앵커>
네, 대면 외교가 없었던 대신 각국 정상들은 코로나 극복을 위해 활발하게 전화와 화상으로 공조를 모색했는데요.
특히 문 대통령에게 각국의 통화 요청이 쇄도했죠?

◆ 박성욱 기자>
네, 그렇습니다.
대한민국이 다른 나라에 비해 코로나 대응을 잘하고 있는 것이 알려지면서 각국 정상들이 문 대통령에게 전화를 걸어온 것인데요.
잠시 화면을 보시면 문 대통령은 2월 20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통화를 시작으로 코로나가 한창 확산하던 4월 초순까지 총 21번의 정상 통화를 했습니다.
아랍에미리트, 이집트, 터키, 프랑스, 스웨덴, 미국, 사우디아라비아, 인도 등 각국 정상들과의 전화 통화를 통해 우리의 방역 경험을 공유했습니다.
우리나라의 방역 체계에 대한 경험 공유, 국내 산 진단키트 및 관련 의료기기 지원 요청 등이 문 대통령의 정상 통화가 빈번하게 이뤄진 요인이었습니다.
2월부터 4월까지 주말을 제외하면 이틀에 한 번 정도 정상통화가 이뤄진 셈이고요.
정상통화 외에도 아웅산 수찌 미얀마 국가고문, 분냥 보라칫 라오스 대통령 등 6개국 정상이 문 대통령에게 서한을 보내 우리의 방역 노하우를 전수 받기를 희망했습니다.
이밖에 마이크로소프트의 창업자인 빌 게이츠 역시 문 대통령에게 전화를 걸어 코로나19 치료제와 백신 개발에 힘을 모으자는데 공감대를 이뤘습니다.

◇ 신경은 앵커>
네, 그야말로 세계 각국이 우리의 우수한 방역 체계를 전수 받기 위해 문 대통령에게 전화를 걸어온 셈이네요.
각국의 노력에도 코로나 확산이 계속되면서 각종 정상회의는 대부분 화상으로 전환이 됐잖아요.
먼저 G20 화상 특별정상회의부터 짚어볼까요?

◆ 박성욱 기자>
네, 지난 3월, 문재인 대통령의 제안으로 G20 특별 화상정상회의가 열렸습니다.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문 대통령의 특별 화상정상회의 제안을 올해 G20 의장국인 사우디아라비아가 받아들이면서 G20 특별 화상정상회의가 성사됐습니다.
문 대통령은 회의에서 각국의 정상들에게 한국의 방역 성과를 소개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공유하겠다는 뜻을 밝혔습니다.
특히 이번 회의에서 주목됐던 점은 문 대통령이 재차 강조했던 기업인 교류의 필요성에 대해 G20 정상들의 공감을 이끌어낼 수 있느냐는 것이었습니다.

녹취> 강민석 / 청와대 대변인 (3월27일)
"코로나의 세계경제에 대한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국가 간 경제교류의 필수적인 흐름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회의의 결과물인 공동성명에는 이같은 문 대통령의 인식이 상당 부분 포함됐습니다.
국가간 이동과 무역에 장애를 일으키지 않는 방식으로 지속 협력하자는 문구가 성명에 들어갔는데, 이 문구는 초안을 만들기 전 한국이 제안했고 최종본까지 그대로 반영됐습니다.

◇ 신경은 앵커>
네, 회의 전반이 우리 주도로 이뤄졌네요.
특히 이 회의에서 나온 논의는 G20 정상회의로 이어졌고요.
정상 선언문 채택이라는 성과를 만들어냈죠?

◆ 박성욱 기자>
네, 당초 올해 G20 정상회의는 사우디 리야드에서 열릴 예정이었는데요.
역시 코로나 확산으로 화상회의로 진행이 됐습니다.
올해 G20 정상회의에서 각국은 코로나 백신과 치료제의 공평한 보급에 힘쓰기로 뜻을 모으고 이를 정상선언문에 담았습니다.
문 대통령 역시 개발도상국에 대한 백신 보급에 긴밀히 협력할 것을 약속했습니다.

녹취> G20 정상회의 영상메시지 (11월 21일)
"한국은 코로나의 완전한 종식을 위한 국제협력에 끝까지 함께 할 것입니다. 모두가 간절히 바라는 백신과 치료제의 개발과 보급에도 힘을 모을 것입니다."

정상들은 또 다자무역 체제가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는 데 공감했습니다.
코로나19 대유행 속에 인력의 이동을 원활히 할 수 있는 구체적 조치를 계속 모색해 나가기로 했습니다.
이 부분은 역시 앞서 3월 G20 화상 정상회의에서 우리나라가 제안한 부분이 발전된 것입니다.

◇ 신경은 앵커>
그런가하면 APEC에서는 향후 20년간 회원국들의 경제발전 방향이 될 '푸트라자야 비전 2040'이 채택됐는데요.
우리의 한국판 뉴딜 정책과 맥락을 같이 한다고요?

◆ 박성욱 기자>
네, 맞습니다.
올해 APEC은 주최국이 말레이시아였는데 푸트라자야는 말레이시아의 지명인데요.
향후 20년 간의 APEC 회원국들의 경제발전 방향을 담은 푸트라자야 비전 2040에는 무역투자 자유화, 디지털 경제, 포용적이고 지속가능한 성장 등 3개 핵심 영역이 담겼습니다.
개방형 통상국가를 지향하는 우리의 한국판 뉴딜 정책과 맥락을 같이 합니다.
청와대는 한국판 뉴딜이 코로나19 이후 시대 선도적 모델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는 계기가 됐다고 평가했습니다.

◇ 신경은 앵커>
네, 이번에는 아세안 관련 정상외교를 돌아볼까요.
큰 성과가 있었는데요.
세계 최대 규모의 FTA죠.
RCEP 협정에 최종 서명을 했죠?

◆ 박성욱 기자>
네, 그렇습니다.
아세안 10개국과 한중일, 그리고 호주 뉴질랜드 등 15개국이 참여하는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 RCEP의 최종서명이 이뤄졌습니다.
전 세계 인구의 3분의 1을 포괄하는 메가 FTA 협상이 8년 만에 마무리된 건데요.
청와대는 RCEP 체결로 코로나 위기 속 자유무역의 중요성을 부각하고 우리의 신남방정책도 가속화될 것으로 기대했습니다.

녹취> 강민석 / 청와대 대변인(11월 15일)
"(문 대통령은) 젊고 역동적인 아세안이 중심이 돼 세계 최대 규모의 자유무역협정을 체결하게 됐다면서 우리는 자유무역의 가치 수호를 행동으로 옮겼다고 의미를 평가했습니다."

문 대통령은 이밖에 동아시아정상회의에서 도쿄 하계올림픽과 북경 동계올림픽을 방역과 안전 올림픽으로 치르자고 제안을 했고 이를 위한 방역과 보건의료 분야 다자협력의 필요성도 강조했습니다.

◇ 신경은 앵커>
네, 각국 정상들이 직접 만날 수 없었지만, 화상회의를 통해 방역과 협력의 합의를 이끌어냈던 한 해 같습니다.
특히 이런 과정에서 재미있는 부분이 있는데요.
세계가 우리 청와대 회담장에 관심을 보였잖아요?

◆ 박성욱 기자>
네, 청와대 정상회담장이 큰 주목을 받기 시작한 건 APEC과 G20 정상회의 후였습니다.
회의장 앞뒤 벽면에 LED화면을 배치해 배경색을 행사 때마다 다르게 구성했습니다.
20 정상회의에서 주최국의 국기 배경색을 사용하고, 한-메콩 정상회의에서는 행사 로고색상에 맞추는 식입니다.
다섯 대의 카메라를 다양한 각도에 배치해 연출하는 식으로도 화면에 세심하게 신경을 썼습니다.
(영상편집: 박민호)
차별화된 한국의 화상 회담장에 G20 주최국인 사우디아라비아는 어메이징이라는 표현을 두 번 쓰며, 한국 회의장의 모든 게 놀라웠다고 했고 RCEP 주최국인 베트남은 비법을 알려달라고 문의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많은 정상회의를 화상으로 치를 수 밖에 없었고 또 계획됐던 일부 정상회의는 사실상 개최가 어려워지기도 한 한 해였습니다.
부디 내년에는 코로나를 극복하고 세계 각국 정상들이 한 자리에 모일 수 있는 때가 오기를 바랍니다.

◇ 신경은 앵커>
네, 하루 빨리 그런 날이 오길 바랍니다.
지금까지 코로나 속에 빛난 문재인 대통령의 비대면 정상 외교를 돌아봤습니다.
박성욱 기자와 함께 했습니다.
오늘 말씀 잘 들었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