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기후·경제 위기 대응충남형 그린뉴딜 청사진은?

생방송 대한민국 1부 월~금요일 10시 00분

기후·경제 위기 대응충남형 그린뉴딜 청사진은?

등록일 : 2021.02.26

최대환 앵커>
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한민국의 경제를 견인할 한국판 뉴딜과 관련해 각 지자체의 비전과 정책 추진 과제를 살펴보는 시간입니다.
2025 대한민국 오늘은 수소에너지 생산에 앞장서고 있는 충청남도 그린뉴딜 정책에 대해 이야기 나눠봅니다.

임보라 앵커>
스튜디오에 공상현 충남도청 그린뉴딜팀장 나왔습니다.

(출연: 공상현 / 충남도청 그린뉴딜팀장)

최대환 앵커>
작년 코로나19 위기 극복 및 경제사회구조 변화 대응을 위한 국가발전 전략으로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이 발표됐습니다.
관련해 한국판 뉴딜과 지역연계 강화 방안이 중요한 화두로 떠올랐는데요, 충청남도에서는 이 한국판 그린뉴딜에 대한 큰 그림을 어떻게 그리고 계신가요?

임보라 앵커>
이 가운데 오늘은 충남도의 그린뉴딜 정책을 중점적으로 살펴볼텐데요, 충남도에선 충남형 그린뉴딜로 2025년까지 일자리 13만 8천여개를 창출하겠다는 계획을 밝혔습니다.
먼저 ‘충남형 그린뉴딜’이란 무엇이고, 이같은 비전이 나오게 된 배경을 설명해 주신다면요?

최대환 앵커>
구체적인 사업 계획 가운데 ‘석탄화력 조기폐쇄’가 눈에 띕니다.
현재 충남에는 대규모 화력 발전소들이 모여 있는 걸로 알고 있는데요, 어떤 로드맵을 가지고 석탄발전 비중을 줄일 계획인지, 또 이로 인한 기대효과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임보라 앵커>
국가전력생산의 상당부분을 석탄발전을 통해 공급하고 충남에는 많은 전력을 사용하는 대규모 산업단지가 많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석탄화력발전소 폐쇄로 전력수급 불안에 대한 대책에는 어떤 것들을 준비하고 있는지요?

최대환 앵커>
충남 대산에는 대산수소 연료전지 발전소가 세계 최초의 부생수소 연료전지 발전소로 설립돼 가동되는 등 충남도는 수소연료전지 발전소 보급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는데요,
현재까지의 성과와 앞으로의 비전도 궁금합니다.

임보라 앵커>
특히 천안과 보령, 논산, 당진, 공주, 홍성, 태안 등 도내 7개 시·군을 중심으로 하는 ‘수소에너지 전환을 위한 규제자유특구’ 에서는 그동안 규제에 묶여 시험이 불가능했던 기술을 제약 없이 시험·실증·개발할 수 있는 곳인데요, 현재 어떤 사업들이 추진 중인가요?

최대환 앵커>
앞으로 충남도 기업의 친환경 전환과 에너지 전환 가속화가 기대됩니다.
관련 과제와 당부 말씀, 마무리로 부탁드립니다.

최대환 앵커>
지금까지 공상현 충남도청 그린뉴딜 팀장과 이야기 나눴습니다.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