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부정수급·취업률 저조···헛도는 '국민취업지원제도'? [사실은 이렇습니다]

생방송 대한민국 1부 월~금요일 10시 00분

부정수급·취업률 저조···헛도는 '국민취업지원제도'? [사실은 이렇습니다]

등록일 : 2021.08.02

최대환 앵커>
계속해서 다음 주제 자세히 살펴 보겠습니다.
올해 1월부터 취업 취약 계층에게 맞춤형 취업지원 서비스를 제공해 취업을 도와주는 한국형 실업부조인 '국민취업지원제도'가 시행됐습니다.
그런데 최근 일부 언론에서는 국민취업지원제도가 시행된 지 6개월이 지났지만 제대로 자리 잡지 못하고 있다며 지적하고 있는데요.
고용노동부 국민취업지원기획팀 송유나 과장과 자세한 내용 짚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과장님, 안녕하세요.

(출연: 송유나 / 고용노동부 국민취업지원기획팀 과장)

최대환 앵커>
우선, 취업률 관련한 지적인데요.
수당이나 활동비를 받은 참가자 대비해서 살펴봤을 때 취업률이 저조한 편이라며 참가자 중 다수가 수당에만 관심이 있을 뿐 실제로 취업에는 관심 없는 것 아니냐 이런 내용인데요.
어떻게 보십니까?

최대환 앵커>
그러니깐 아직까지 국민취업지원서비스가 진행 중에 있기 때문에 서비스가 종료 된 이후에 산출해야 조금 더 정확한 통계를 낼 수 있다는 말씀이군요.
그런가 하면 이런 지적도 있습니다.
지난 6개월 간, 자격이 안 되는 경우에도 수당을 받거나 거짓으로 구직활동을 하는 등 구직촉진수당에 대한 부정수급도 빈번이 일어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는데요.
이 부분은 어떻게 보십니까?

최대환 앵커>
그러니깐 부정수급 발생 비율은 전체의 0.03%로 발생하고 있지만 이 마저도 수당 지급 과정에서 교차 확인을 통해 철저한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는 말씀이군요.
하지만 언론 보도 내용을 조금 더 살펴보면, 청년의 경우 취업 경험과는 상관없이 구직촉진수당을 받을 수 있는 경우도 있다며 취업률이 저조하고 부정수급도 발생하고 있지만 대책 없이 지원 대상을 확대하고 있다 이렇게 지적하고 있습니다.
이 부분에 대한 확인도 부탁드립니다.

최대환 앵커>
네, '국민취업지원제도' 운영과 관련해서 고용노동부 송유나 과장과 자세한 내용 짚어 봤습니다.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