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작년 댐 수해는 '관리부실'···피해구제 신속 지원

KTV 대한뉴스 월~금요일 19시 00분

작년 댐 수해는 '관리부실'···피해구제 신속 지원

등록일 : 2021.08.04

신경은 앵커>
지난해 여름, 댐 하류에서 발생한 '수해 원인'을 조사했더니, '관리 부실'이 문제였습니다.
정부는 '피해 구제'를 신속히 지원하고, '댐 관리 규정'을 개정하기로 했습니다.
임하경 기자입니다.

임하경 기자>
지난해 8월 섬진강과 금강 하류 등 158개 지구에서 발생한 홍수 피해.
정부의 조사 결과 수해 원인은 제도, 운영상 문제로 나타났습니다.
먼저 기후위기에 대응이 안 되는 오래된 댐 관리 규정이 주요 원인으로 꼽혔습니다.
특히 섬진강댐은 홍수조절 용량이 전국 평균의 40% 수준으로 홍수 대응능력이 부족했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현재 홍수 방어계획은 국가하천이 100~200년, 지방하천은 50~100년 빈도 수준입니다.
지방하천의 경우 최대 100년에 한번 일어날 정도의 홍수까지 방어할 수 있다는 말입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기후변화로 100년 이상 빈도의 대규모 홍수가 발생하고 있어 이를 막는데는 역부족입니다.
일부 댐의 경우 홍수기 제한수위를 넘겨 운영하는 등 운영과 관리도 미흡했습니다.
댐 관리자가 하류지역 주민에게 댐 방류 정보를 규정보다 늦게 통보한 점도 확인됐습니다.

녹취> 배덕효 / 한국수자원학회장
"작년 8월 댐 하류 지역의 홍수피해는 지구별로 차이는 있으나 일부 지역에서의 설계기준을 초과하는 강수량, 댐의 구조적인 문제, 댐 관리 미흡, 법·제도의 한계, 댐-하천 연계 홍수관리 부재, 하천의 예방투자 및 정부 부족 등 복합적인 원인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이에 대해 환경부는 피해 지역 주민들에 대한 피해 구제가 신속하게 이뤄지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현재 합천군과 청주시, 구례군 등 3개 시군의 2천여 명의 주민이 환경분쟁조정을 신청한 상태입니다.
해마다 심각해지고 있는 기후위기에 대비해 홍수관리 대책도 강화합니다.
기존 3시간 전에 하던 댐 방류 예고를 24시간 전에 하도록 바꾸고 댐별로 상한수위도 정합니다.

녹취> 홍정기 / 환경부차관
"작년 이상의 집중호우에도 충분히 홍수 조절이 가능하도록 별도의 댐별 상한수위를 설정하고 댐 수위를 낮춰서 운영하고 있으며 작년과 같이 2번의 집중호우가 연달아서 발생할 경우에도 하류지역의 피해를 예방할 수 있도록 대비를 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파손된 제방과 하천 구조물에 대한 재해복구사업도 내년 초까지 마무리할 계획입니다.
(영상취재: 안은욱 이수경 / 영상편집: 오희현)
대규모 피해가 발생했던 구례 등 7개 지역에 대해서는 하천정비와 배수펌프 설치, 토지 보상을 종합적으로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KTV 임하경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