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델타 플러스' 첫 확인···돌파감염 0.018% 수준

KTV 대한뉴스 월~금요일 19시 00분

'델타 플러스' 첫 확인···돌파감염 0.018% 수준

등록일 : 2021.08.04

박성욱 앵커>
코로나19 4차 유행이 좀처럼 꺾이지 않고 있는데요.
델타 변이 바이러스에서 파생된 '델타 플러스' 변이 감염이, 처음으로 확인됐습니다.

신경은 앵커>
접종 뒤에 확진 판정을 받는 '돌파 감염'은, 0.018%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혜진 기자입니다.

이혜진 기자>
신규 확진자는 1천202명으로, 계속해서 네자릿수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 가운데 1천152명이 지역발생입니다.
서울 307명, 경기 344명 등 수도권 집중이 여전하고, 대전과 경남 등 비수도권에서도 두자릿수 확진자가 나오고 있습니다.
방역당국은 수도권 확산세는 일정 수준 정체되고 있고 비수도권 감염 속도는 느려지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감소세로 확실히 돌아설지는 이번 주 금요일까지 상황을 지켜봐야 판단이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변이 바이러스도 기세를 넓히고 있습니다.
지난 일주일간 국내 확진자의 67.6%에서 변이 바이러스가 검출됐는데 대부분이 델타 변이였습니다.
여기에 더해 델타 변이 바이러스에서 파생된 '델타 플러스' 변이가 국내에서도 확인됐습니다.
모두 2명입니다.
감염자 한 명은 해외여행력이 없는 40대 남성이고 나머지 한 명은 국외유입 사례였습니다.

녹취> 이상원 / 방대본 역학조사분석단장
"(델타 플러스 변이의) 영향은 아직까지 평가 중이고 현재까지 살펴 본 바로는 아주 큰 영향은 아니라는 것이 일반적인 판단입니다. (델타 변이와) 중화능에서 큰 차이는 보이지 않고 자세한 특징은 좀 더 분석해야할 부분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접종 뒤 확진 판정을 받는 국내 '돌파 감염' 추정 사례는 전체 접종완료자의 0.018%로 집계됐습니다.
미국과 비교해 5분의 1 수준입니다.
방역당국은 이런 가운데 최근 40~50대 연령층에서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가 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실제 40~50대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는 한 달 사이 5.6배 늘었고 중증화율도 2.4배 커졌습니다.
의료대응체계는 원활히 유지되고 있습니다.
중환자 병상은 42.8% 사용 가능하고, 감염병전담병원은 28.3%, 생활치료센터는 44.5% 비어있는 상황입니다.
정부는 이와 함께 시설 근무자 가족을 통해 감염이 발생한 교정시설 방역을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만 30세 이상 교정공무원과 고연령층 수용자 대상 접종을 진행하고 수시 현장점검 등 방역에 집중하고 있다는 설명입니다.
(영상취재: 안은욱 / 영상편집: 장현주)

KTV 이혜진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