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보라 앵커>
탄소중립 위원회가 2050 탄소중립 실천을 위한 시나리오 초안을 확정했습니다.
시나리오는 모두 3가지 인데 이가운데 3안은 온실가스 순배출양 0, 이른바 넷제로를 제시하고 있는데요, 정부는 의견수렴을 거쳐 10월 최종안을 확정할 방침입니다.
보도에 신국진 기자입니다.
신국진 기자>
지난해 10월 문재인 대통령은 2050 탄소 중립을 선언했습니다.
2050년까지 온실가스 순배출량을 제로로 만든다는 계획으로 목표 달성을 위한 시나리오 초안이 확정됐습니다.
녹취> 윤순진 / 탄소중립위원회 민간위원장
"위원회는 기후 위기로부터 안전하고 지속 가능한 탄소중립 사회라는 비전을 설정하고, 책임성, 포용성, 공정성, 합리성, 혁신성이라는 다섯 가지 원칙에 입각해서 시나리오를 검토했습니다."
탄소중립위원회가 내놓은 안은 총 3가지 시나리오로 구성됩니다.
정부가 기존에 제시했던 1, 2안에 더해 온실가스 순배출량 제로를 의미하는 '넷제로' 시나리오가 담긴 3안이 추가됐습니다.
시나리오 1안을 통해 2050년 온실가스 순 배출량을 2018년 대비 96.3% 감소한 2천540만 톤, 2안은 97.3% 감소한 1천870만 톤을 목표로 했습니다.
3안은 100% 감소한 제로(0)를 전망했습니다.
첫 번째 시나리오는 신규 석탄화력발전소 7기를 최소한 2050년까지 유지하는 것을 전제로 원·연료의 전환을 고려했습니다.
두 번째 시나리오는 석탄 발전은 중단하는 대신, LNG 발전을 유지하는 방안입니다.
마지막 시나리오는 석탄발전과 LNG 발전 모두 중단하는 계획으로 전기차와 수소차 등 무공해 차량 보급 비율을 97%로 정했습니다.
녹취> 윤순진 / 탄소중립위원회 민간위원장
"각각의 대안은 석탄 발전 유·무, 전기 수소차의 비중, 건물 에너지 관리, 탄소 포집 이용 및 저장, 흡수원 확보 등 핵심 감축 수단과 그 수준을 현실적 여건과 전제 가정에 따라 다르게 적용하였습니다."
시나리오에는 전환, 산업, 수송, 건물, 농축폐기물 등 온실가스를 발생시키는 주요 부문의 감축 계획을 담았습니다.
(영상취재: 박상훈 / 영상편집: 장현주)
탄소중립위원회는 탄소 중립 시민회의 등을 통해 9월까지 폭넓은 의견을 수렴한 뒤 정부 최종안을 10월 확정할 계획입니다.
KTV 신국진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