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4년···의료 공공성 현황과 과제는?

생방송 대한민국 1부 월~금요일 10시 00분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4년···의료 공공성 현황과 과제는?

등록일 : 2021.08.09

최대환 앵커>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정책, '문재인케어'로 더 널리 알려져 있는 이 정책은 정부 출범 초기부터 시행이 됐는데요.
말 그대로 건강보험이 적용될 수 있는 항목을 더 많이 설정해 감당할 수 없는 병원비로 겪는 심각한 생활고를 예방하고, 중병의 조기발견을 지원하는 등 국민들의 전반적인 삶의 질을 높이겠다는 겁니다.
실제로 많은 국민들이 병원비와 중증질환 치료비에 대한 부담을 던 한편, 중병의 조기 발견과 치료를 위한 검사에도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됐습니다.
MRI의 경우 올해 내에 심장 등 흉부, 복부 검사에 대해서도 보장이 더 확대될 예정입니다.
정부는 이렇게 건강보험의 보장률을 확대하는 한편, 더 넓은 범위에서도 의료 공공성을 확대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공공의료 시설과 필수 의료 인력 등을 늘리는 건데요.
그 중요성은 이번 코로나19 사태를 통해 더욱 부각되기도 했죠.
물론 이 모든 노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건보료의 상승, 의료계의 적정수가에 관한 반발 등 풀어야할 문제도 많습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원칙은 다른 무엇보다 공익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는 점일텐데요.
문재인케어 4년의 성과와 과제를 짚어보겠습니다.
이주열 남서울대학교 보건행정학과 교수와 함께합니다.

(출연: 이주열 / 남서울대학교 보건행정학과 교수)

최대환 앵커>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즉 문재인케어가 4년을 맞았습니다.
입원비, 초음파, MRI를 비롯해 비급여 항목을 급여화로 전환하고 건강보험 보장률을 높이는 정책을 일컫는 건데, 현재까지의 성과 어떻게 보십니까?

최대환 앵커>
사실 병원비, 잘못하면 가계 경제를 뒤흔들어 놓을 수 있는 변수인데요.
이런 상황에서 의료 영리화를 최소화하려는 정부의 노력이 정말 중요할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이와 관련해서는 현재까지 어떤 평가를 할 수 있을까요?

최대환 앵커>
같은 의미에서 의료 공공성 강화 노력도 지속이 됐는데, 이 성과도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최대환 앵커>
관련해서는 방역체계에 대한 이야기도 함께 해봐야할 것 같은데요.
특히 이번 코로나19 사태를 겪으면서 의료 공공성이 더 주목받지 않았습니까?

최대환 앵커>
다만 높아지는 건강보험료율에 대한 비판은 있습니다.
형평성에 대한 지적도 많았는데, 이와 관련해서 정부도 대안을 내놓지 않았습니까?

최대환 앵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각에서는 의료수가, 재정부담에 대한 비판을 끊임없이 내놓고 있는데, 관련해서 보완해야 할 점도 있을까요?

최대환 앵커>
건강보험 보장성과 의료 공공성 강화, 그렇다면 앞으로는 어떤 속도로 어떻게 진행되어야 할지 마무리 말씀 부탁드립니다.

최대환 앵커>
이주열 남서울대학교 보건행정학과 교수와 함께 했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