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제76주년 광복질 기념···한반도 평화통일 위한 길은?

생방송 대한민국 1부 월~금요일 10시 00분

제76주년 광복질 기념···한반도 평화통일 위한 길은?

등록일 : 2021.08.13

최대환 앵커>
기억하지 못하는 역사는 반복된다는 말이 있습니다.
아픈 역사일수록 우리가 잊지 말아야 하는 이유일텐데요.
올해는 우리나라가 일본으로부터 해방된 지 76주년이 되는 해입니다.
36년 동안 국권을 잃고 일본의 식민지로 지내면서 수많은 수탈과 억압 속에서도 민족과 나라를 되살리기 위해 독립투쟁을 펼쳤던 선조들이 있었기에 오늘의 우리와 또 지금의 대한민국이 존재한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입니다.
어느덧 광복 76주년이 되었지만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일본군 위안부 문제. 내일은 네 번째를 맞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입니다.
특히 올해는 故 김학순 할머니가 일본군 위안부 피해 사실을 세상에 알린 지 30주년이 되는 해이기도 해 더욱 의미가 큰데요.
역사를 바꾼 그날의 용기를 기억하며 기림의 날과 광복절의 의미, 그리고 한반도 평화를 위한 방안을 살펴봅니다.
서울 스튜디오에 나와 있는 김용현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와 이야기 나눠봅니다.

(출연: 김용현 /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

최대환 앵커>
그동안 광복절 경축사에서 한일 관계와 한반도 평화 문제는 빠지지 않고 늘 들어갔었죠.
현재 한일관계와 남북관계 모두 정체 국면인 가운데 이번 8.15 경축사에 어떤 메시지가 담길지 관심이 많은데요.
올해는 어떤 메시지가 나오게 될까요?

최대환 앵커>
한편, 남북 통신연락선 복원으로 남북관계에 순풍 조짐이 보였다가 2주 만에 다시 끊겼는데요.
13개월 만에 복원된 통신선이 또 다시 단절된 배경, 어떻게 보십니까?

최대환 앵커>
공교롭게도 통신연락선이 끊긴 날이 한미연합훈련 사전연습에 돌입한 날이었는데요.
매번 한미훈련에 강하게 반발해왔던 북한이었고, 이번에도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이 담화를 냈죠.
이번 담화 내용, 어디에 초점이 맞춰졌나요?

최대환 앵커>
앞서 교수님께서 말씀하셨듯이 아무래도 한미훈련의 영향이 커 보이는데... 이번 한미훈련은 지난번보다 축소된 형태로 진행이 된다고요?

최대환 앵커>
내일은 지난 2017년 법정 기념일로 지정 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입니다.
올해로 네 번 째 기념일을 맞았는데요.
우선, 의미에 대해 짚어주신다면요.

최대환 앵커>
전쟁과 식민 지배로 삶을 빼앗겼던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에게 진정한 사과가 이루어 질 수 있길 모두가 간절히 바라고 있는데요.
그렇기 때문에 역사청산은 여전히 과제로 남아있습니다.
현재 일본 정부의 입장은 어떤지, 또 우리 정부에게 어떤 과제가 있다고 보십니까?

최대환 앵커>
그동안 우리 정부는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진전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지만, 아직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많이 남아 있는데요.
항구적인 한반도 평화 정착을 위해 앞으로 어떤 노력을 기울여야할지 마무리 말씀 부탁드립니다.

최대환 앵커>
지금까지 김용현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와 이야기 나눴습니다.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