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유영 앵커>
정부는 내년에 데이터, 네트워크, 인공지능 기반 '디지털경제'로의 전환에도 더욱 속도를 낸다는 방침인데요.
이를 위해 핵심 인프라를 더욱 확충하고, 디지털포용법 등 법적 기반도 마련한다는 계획입니다.
계속해서 최영은 기자입니다.
최영은 기자>
정부의 내년도 핵심 과제 가운데 하나는 '디지털 경제' 전환 촉진입니다.
디지털 뉴딜 성과를 토대로 한 데이터·네트워크·인공지능, 이른바 D.N.A를 통한 디지털 경제 전환에 속도를 낸다는 계획입니다.
우선 전 산업과 디지털 융합을 본격 연계합니다.
국내 최초로 자율주행 레벨3 차량을 출시 하고, 자율주행 통신방식을 실증할 계획입니다.
또 인공지능으로 질병을 진단하는 '닥터앤서'를 전국 8개 병원에 보급하고, 응급 환자를 이송하는 AI 앰뷸런스를 전국에 단계적으로 배치하는 등 디지털 융합으로 국민의 생활 속 편의를 높이겠다고 밝혔습니다.
이 같은 디지털 경제 전환을 위해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데이터 댐'을 확장하고, 5G 전국망을 촘촘하게 구축하는 등 핵심 인프라를 더욱 확충한다는 계획입니다.
이와 함께 디지털 경제 전환으로 소외 받는 국민이 없도록 '디지털포용법'을 제정하고, 누구나 안전하게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관련 장치도 마련할 방침입니다.
녹취> 한정애 / 환경부 장관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한 법적 기반을 확충하고 사이버 위협에 대응하여 정보공유 플랫폼을 기업에 개방하는 한편, 망 장애 등에 대한 안전성 확보도 추진하겠습니다."
디지털 대전환에 발맞춰 혁신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핵심 과제도 선정했습니다.
먼저 전국 초중고 전체 학습 공간 38만 곳에 기가급 무선망을 설치하고, 민간, 공공 서비스를 연계하는 K-에듀 통합플랫폼도 구축합니다.
정부는 또 디지털 신기술 분야의 혁신공유대학을 선정하고, 기업 주도의 미래 소프트웨어 전문가 양성도 지원한다는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영상편집: 김종석)
아울러 범부처 협업 기반의 인재양성 체계를 강화하기 위해 420억 원을 투자해 인재양성 기본전략을 구축하고, 부처 공동 사업을 추진한다는 방침입니다.
KTV 최영은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