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강하다 K! 배터리···세계 시장 제패 비결은? [강하다-K]

생방송 대한민국 1부 월~금요일 10시 00분

강하다 K! 배터리···세계 시장 제패 비결은? [강하다-K]

등록일 : 2022.03.11

최대환 앵커>
최근 우리나라 기업들이 생산한 배터리가 세계를 휩쓸고 있습니다.
영상에서 보셨듯이 중국을 제외한 전 세계 시장에서 압도적인 시장 점유율을 확보하고 있는데요.
4차 산업혁명이 가속화되면서 배터리는 반도체와 함께 미래 산업의 핵심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특히 전기차의 보급이 늘어나면서 배터리에 대한 수요는 갈수록 늘어나고 있습니다.
또 드론과 스마트폰 등 전기차를 제외한 다른 분야에서도 배터리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데요.
오는 2025년에는 배터리 산업의 시장 규모가 메모리 반도체보다 더 커질 것이라는 예측까지 나오고 있습니다.
배터리로 달리는 전기차들은 우리나라의 2050 탄소중립 목표 달성에도 크게 이바지하고 있는데다, 전 세계 기후변화 대응에서도 K-배터리가 활약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매주 금요일 세계 시장을 선도하는 우리 문화와 산업, 정책을 살펴보는 강하다-K, 오늘은 탄소중립의 핵심 중 하나인 K-배터리에 관해 알아보겠습니다.
서울 스튜디오에 나와 있는 중앙대학교 융합공학부의 윤성훈 교수와 이야기 나눠봅니다.

(출연: 윤성훈 / 중앙대학교 융합공학부 교수)

최대환 앵커>
전 세계의 배터리 시장을 우리 기업들이 선도하는 상황인데요.
먼저 K-배터리의 세계 시장 점유 상황부터 짚어주시죠.

최대환 앵커>
말씀하신 대로 배터리 산업이 제2의 반도체 산업으로 자리 잡는 상황인데요.
우리의 배터리 산업이 세계 시장을 주도할 수 있었던 배경으로는 어떤 것들이 있었을까요?

최대환 앵커>
최근 미·중 무역 갈등으로 인해 미국의 공급망 재편 움직임이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우리 기업들도 미국 시장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있는데요.
이 부분도 한 번 짚어주시죠.

최대환 앵커>
중국을 제외하고 미국과 유럽 배터리 시장에서의 점유율을 우리 기업들이 차지할 것으로 보이는데요.
하지만 최근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면서 배터리용 광물 가격이 크게 치솟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어떤 대안이 모색되고 있나요?

최대환 앵커>
최근 배터리 업계의 가장 큰 이슈는 전기차 화재 사건이 아니었을까 하는데요.
교수님께서는 전기차 화재 사건의 원인과 해결 방안은 무엇이라고 보십니까?

최대환 앵커>
현재는 리튬 이온 배터리가 배터리 산업의 대세라고 할 수 있는데요.
앞으로 배터리 산업은 어떤 방향으로 발전할 것으로 예상하시는가요?

최대환 앵커>
마지막으로 우리 배터리 산업이 계속해서 선두를 차지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정책 또한 중요한 시점인데요.
마무리 말씀으로 정리 부탁드립니다.

최대환 앵커>
지금까지 중앙대학교 융합공학부의 윤성훈 교수와 이야기 나눴습니다.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